• 아시아투데이 로고
[김민수의 스마트폰 사진 잘찍고 SNS 잘하기]문래동 풍경 - ‘발품발줌’ 스마트폰으로 만나는 철공과 예술의 융복합 공간

[김민수의 스마트폰 사진 잘찍고 SNS 잘하기]문래동 풍경 - ‘발품발줌’ 스마트폰으로 만나는 철공과 예술의 융복합 공간

기사승인 2015. 07. 18. 10:0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M-1

서울시 영등포구 문래동 58번지에 자리잡고 있는 문래동 철공소 골목길로 가보자. 지하철 2호선 7번 출구에서 5분 정도 걸어가다 보면 아파트와 대형 상가 아래로 시간이 멈춘 듯한 철공소 골목이 나오는데 이 골목을 따라 들어가면 수십여 곳의 철공소가 원형을 이루는 중심 공간을 만날 수 있다. 이곳은 1960년대부터 서울의 철공 제조업 공간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여 80년대까지 국내의 산업 발전에 혁혁한 공을 세운 역사적 골목이며, 지금까지도 철공제조업을 하고 있는 철공소와 함께 최근에는 예술가들이 어우려져 융복합된 공간을 만들어내는 창작 예술촌인 이색지대이다.
(사진참조, M-2, M-3) 


M-2
 
M-3


◇ 문래동 철공단지 풍경
이곳에 예술가들이 입주하게 된 배경은 2010년 홍대 일대의 상권이 발달하면서 임대료가 상승하자 당시 홍대 인근에서 활동하고 있던 젊은 작가들이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낮은 문래동 철공단지로 찾아들면서부터이다. 즉 자생적으로 발달한 대안공간인 셈이다. 1층에는 철공소가 있었고, 2-3층에는 작가들의 작업실이 들어서 살게 되면서  이제는 공존하며 삶을 가꾸어가는 융합된 예술촌이 되었다. 현재는 서울문화재단의 지원과 협업으로 서울시의 대표적인 예술창작촌인 문화적 테마공간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사진참조, M-4)


M-4


문래동 철공단지가 서울의 이색 공간으로 인식되면서 많은 관광객과 사진가들 또한 자주 이곳을 방문한다. 그러다보니 본의 아니게 이곳에서 생업에 종사하는 철공소 단지 내의 주민들에게 정신적인 피해를 끼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수시로 카메라를 들이대어 그들의 일상을 찍어가는 비문화적 행태로 종종 불쾌감을 유발한다. 그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골목골목마다 ‘초상권을 존중하는 매너 있는 촬영문화를  만들어주세요.’라는 표지판을 세워두었다. 따라서 본인은 주로 철공소가 문을 닫은 주말을 이용해서 출사한다. 문래동 공장의 철문은 시간의 흐름을 따라 녹이 설고 빛이 바랬으나, 철문마다 작가들이 그려 놓은 작업과 묘하게 조화를 이뤄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공장 철문이 순서있게 닫혀 있는 휴일에는 더욱 볼거리가 많고 오히려 찍을 것이 많다. (사진참조, M-5, M-6)


M-5

M-6


필자의 ‘찾아가는 갤러리’도 출발의 첫 신호로 휴일을 잡아 이곳에서 철문에 사진 액자를 부착하여 전시를 한 바 있다. 이색 공간만큼이나 이색적인 전시가 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사진 참조 M-7, M-8) 


 

M-7
M-8


이곳에는 공장 사이사이의 골목에 그려진 벽화 이외에도 건물 옥상마다 작가들이 작업한 설치물과 벽화가 있어 휴일을 이용해서 올라가면 소소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기종에 상관없이 발품을 많이 팔아야 한다.  특히나 스마트폰 사진은 여기에 한 가지를 더 추가해야 한다. 스마트폰 줌 기능을 이용하는 것보다 대상에 최대한 가까이 다가가는 ‘발줌’을 사용하라는 것이다. 일명 ‘발품발줌’을 하여야 한다. 


◇ ‘발품발줌’ 하여 찍어가는 문래동 사진 촬영 팁

문래동 철공단지를 보다 예술적으로 찍기 위해서는, 이른 아침이나 해가 지기 시작하는 늦은 오후 시간을 이용할 것을 강력 추천한다. 이 일대의 높은 상가건물과 아파트로 인해 햇살이 측면에서 들어오면서 철공단지의 분위기는 드라마틱한 장소로 변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비가 오는 날도 적극 추천한다. 


비가 오는 날은 철문이 빗물로 흥건하게 젖어 오래되고 녹슨 철의 색감들이 살아나기 때문이다. 더우기 스마트폰의 최대 장점 중의 하나가 비가 오는 날에도 멋지게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것이다. 렌즈에 빗물이 들어갈 염려도 거의 없으며, 습기로 인해 렌즈가 흐려지는 일도 드물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렌즈는 빗물에 노출이 되어도 힘들게 닦아 낼 필요가 없다. 그냥 손가락으로 조그마한 렌즈를 슥 흠쳐내듯 닦아내면 된다. 심지어 한 손에 우산을 들고도 편하게 찍을 수가 있다. 고가(高價)의 카메라는 비 오는 날 사진 찍기가 용이하지 않다. (사진 참조 M-9, M-10)


M-9

M-10


촬영 순서는 먼저 문래동 철공 단지 내 원형 공간을 천천히 한 바퀴 돌면서 구경하는 동시에 오래 된 대상들을 하나씩 찍어나가면 된다. 그런 다음 반대 방향으로 다시 돌아가면서 차근차근 여유있게 살펴보면 숨어있는 대상들을 새롭게 찾을 수 있다. 오고 가는 길에 옥상을 올려다보면 설치물들이 군데군데 보이는데 설치물 밑 건물 입구에서 계단을 따라 옥상으로 올라 갈 수 있다. (사진 참조 M-11, M-12)

M-11

M-12
가끔 어떤 곳은 옥상으로 가는 문이 잠겨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열려 있다. 옥상에 올라가서 다른 건물의 옥상들을 바라 보면 옥상마다 작가들의 재미있는 설치물들이 있다. 그렇게 몇 번을 오르 내리면서 사진을 찍다 보면 서너 시간이 금방 지나간다. (사진 참조 M-13, M-14)

M-13
M-14


이렇듯 발품을 팔다보면 쉬고 싶은 생각이 든다.  문래동 철공단지 내에는 몇 군데의 개방된 작가 작업실과 2층 코너에 작은 커피숍이 있다. 그 곳에서 휴식도 취하고 관람도 하면서 잠시 쉬어가는 시간을 가지면 좋다. 충분한 휴식을 가졌으면 이제는 철공단지를 벗어나 신도림 쪽으로 대로를 건너라. 그러면 문래동과 비슷한 공간을 또 만날 수 있다. 여기에도 벽화가 적지 않으며 볼거리 또한 많다. 이곳에서 사진을 찍으면서 시간을 보낸 후 늦은  오후 해가 지기 시작하면 다시 문래동 철공단지로 돌아오는 것이다. (사진 참조 M-15, M-16) 


M-15
M-16
 

해가 지기 시작하면서 철문에 비치는 명암과 대비의 효과는 문래동 철공단지를  드라마틱하게 찍을 수 있다. 이  때부터는 해가 빠르게 지기 때문에 서둘러 움직여야 한다. 앞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사진은 발품이다. 열심히 발품을 팔다 보면 반드시 좋은 사진을 얻기 마련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진은 ‘발품 발줌’이다. 더 많이 걸어야 하고 최대한 대상에 가까이 다가가야 한다. 그러면 스마트폰으로도 좋은 사진을 만들어 낼 수가 있다. (사진 참조 M-17)


M-17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