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내일 FOMC서 미 금리인상 확실시…‘부채폭탄·유동성악화’ 아시아의 대응은?

내일 FOMC서 미 금리인상 확실시…‘부채폭탄·유동성악화’ 아시아의 대응은?

기사승인 2017. 06. 13. 13:5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13~14일(현지시간)로 예정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결정이 확실시되면서 아시아 신흥국이 이로 인해 야기될 글로벌 금융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태국 방콕포스트는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은 특히 부채 수준이 높은 아시아 신흥국 시장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면서 장단기적인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앞서 12일 보도했다.

우선 미 금리 인상시 아시아 지역 금융시장은 자산 유동성 경색을 가장 먼저 걱정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상된 금리로 인해 국제 자본이 미국으로 흘러들어 가면서 이는 아시아 신흥국의 외국투자자본까지 흡수할 것이기 때문. 금리 인상은 또한 달러 강세를 이끌어 아시아 주요 국가의 통화들이 하락세 압박을 받게 만든다. 이런 통화가치 하락은 추가 자본유출 우려를 부르는데, 특히 변동환율을 시행하는 국가에선 유동성 하락으로 인한 경제둔화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더해 최근 국채 매수세가 둔화 경향을 보인 미국이 자산 매입을 줄이겠다고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 아시아는 지난 2013년 당시 미 연준이 양적완화 축소 계획을 제시한 것만으로도 테이퍼 탠트럼(긴축발작)이 일어나 금융시장 내 긴장을 경험한 바 있다.

또 다른 성장 저해 리스크는 아시아 공공·민간부문의 급격한 외화 부채 확장이다. 달러 강세로 외화 부채 부담이 증가하는 것으로, 실제 아시아 신흥국의 미지불 외화부채는 2010년에서 지난해 사이 두 배로 늘었다. 글로벌 금융 완화와 달러 약세로 빚을 늘렸지만 이젠 ‘미 금리인상→달러 강세’의 급습에 처하게 된 것이다. 아시아 기업들이 빚은 외화로 냈지만 수익은 자국 통화로 내고 있어 강달러로 인한 재정 악화는 불가피해 보인다.

다만 매체는 부채 증가로 인한 리스크들은 단기적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시아 지역의 경제성장률과 강한 펀더멘털(경제 기초체력), 개선중인 거시건전성 정책들이 역내 국가들의 경제를 보호할 수 있다는 이유다.

그러나 미국을 위시한 글로벌 유동성 경색 리스크는 여전히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점진적으로 레버리지(지렛대·부채를 투자해 수익을 올리는 것)를 줄여나가는 것이 1순위다. 각국 정부들은 금융 시스템에 충격을 주지않고 비효율·과잉생산 산업 부문의 레버리지 수준을 낮춰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는 데 매체는 이러한 기업들에 대해 파산하더라도 정부의 구제조치가 없을 것이란 점을 확실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업이 생존을 위해 스스로 부채비율을 줄이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매체는 한 예로 한국 대기업의 경우를 들어 디레버리징(부채 축소)과 구조조정이 이미 시작됐다면서 지난해 현대중공업·두산중공업·포스코 등이 과도한 부채를 정리하고 비핵심 자산을 매각했다고 전했다.

이에 더해 담보인정비율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규제해 부동산 시장 거품을 잡는 등 거시 경제에 위협이 될만한 부채 부문을 타깃으로 한 정책을 펼쳐 유동성 악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매체는 마지막으로 정부 당국이 금융 안정성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채 상황을 끊임없이 감시해 ‘성장과 디래버리징’ 사이 양자택일의 상황에 부딪히지 않는 것이라고 충고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