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눈] 제조업 넘어 전 산업의 ‘총아’된 ‘자동차 산업’...위기 방관 안돼

[기자의눈] 제조업 넘어 전 산업의 ‘총아’된 ‘자동차 산업’...위기 방관 안돼

기사승인 2018. 07. 23.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자동차, ICT 접목 등으로 제조업 넘어 전 산업의 첨단 기술 집약체로 발돋음
美, 고 관세 부과 검토로 국내 자동차 기업 둘러싼 환경 어두워
정부의 통상협상, 기업의 기술개발 강화 계기되야
전통적으로 자동차 산업은 제조업을 총 망라한 분야로 여겨져 왔다. 철강을 이용해 차체를 만들고 각종 공작기계를 이용해 엔진과 자동차 부품을 만들어 이를 조립하는 등 다양한 분야의 협업으로 차가 완성되기 때문이다.

최근엔 자율주행차와 커넥티드자동차 등이 대세가 되면서 정보통신기술(ICT)까지 자동차에 덧붙여지고 있다. 자동차가 제조업의 집약체를 넘어 전 산업의 첨단 기술이 집약된 총아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등 각종 ICT 행사의 메인 부스에 자동차가 전시되고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이 CES에 직접 참석, 다양한 ICT 기업들의 기술을 둘러본 점은 이를 잘 보여주는 단면이다.

하지만 현대·기아자동차 등 우리나라 자동차 기업을 둘러싼 외부 환경은 우호적이지 않다. 중국의 사드배치에 따른 제재로 어려움을 겪은데 이어 이번엔 미국이 관세 부과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우리나라 기업 자동차 수출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이다. 만약 이 같은 고 관세 정책이 실현된다면 미국 시장에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경쟁하는 현대·기아차 등 우리 기업의 치명적인 판매 감소가 우려된다.

이런 상황에서 산업통상자원부 등 유관 정부 기관들이 미국으로 넘어가 관세 부과 저지를 위한 협상을 벌이고 정부 관계자들이 미국에서 열린 공청회에 참석, 우리나라 입장을 밝히는 노력을 벌이고 있지만 아직 그 결과는 불투명하다.

확실한 점은 정부가 미국과의 협상에 임하면서 자동차를 단순한 제조업의 한 분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는 반도체·통신·소프트웨어(SW)등을 아우르는 산업의 집약체다. 자동차 산업의 후퇴는 미래 먹거리로 불리는 ICT 산업의 침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중국의 사드 사태에 이어 미국 고 관세 부과 논란이 우리나라 자동차·ICT 기업들의 기술 개발의 기폭제로 작용해야 한다는 점도 분명하다. 취재 중 만난 한 정부 관계자는 “해외 시장에서 가격으로 승부보기보다 자율주행과 친환경 연료 등 차세대 미래 기술로 승부를 볼 때 관세 등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적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미국과의 협상이 잘 마무리 되는 것은 물론 이번 사태가 ‘자동차 산업 수준이 곧 그 나라 산업 전반의 경쟁력’이라는 교훈을 정부 기업 모두 다시 한번 각성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