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국감] 이은권 의원 “고속도로 휴게소 과도한 수수료, 피해는 이용객에 전가”

[국감] 이은권 의원 “고속도로 휴게소 과도한 수수료, 피해는 이용객에 전가”

기사승인 2018. 10. 15. 15:0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고속도로 사고 원인자부담금 징수 못해 혈세낭비 지적
2-자 이은권 의원
이은권 의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은권 의원(자유한국당, 대전중구)은 15일 김천에서 열린 한국도로공사 국정감사에서 고속도로 휴게소 입점업체의 수수료가 최고 58.5%로 백화점보다 높은 수수료 지불하며 이용객들에게 높은 가격과 질 낮은 서비스를 전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매출의 50%를 수수료로 내는 휴게소 식당에서 고객이 7000원짜리 음식을 주문하면 3500원이 임대 수수료로 지불된다. 나머지 3500원으로 재료를 구입해 음식을 만들어 내며 종업원을 고용하고 수익을 남기는 구조인 것이다.

최근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무제로 인해 운영은 더욱 힘들어지고 있으며, 이런 상황이다 보니 가격은 오르고 서비스가 낮아지는 결과가 고스란히 이용객들에게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도로공사가 이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현재 운영 중인 고속도로 휴게소는 195개이며, 그 중 166개소가 임대로 운영되고 있다. 휴게소 임대 운영권은 도로공사 입찰을 통해 결정하고 운영권을 받은 민간기업이 휴게소 내 식당과 점포들로부터 수수료를 받아 임대료를 내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렇게 거두어들인 지난해 공사의 휴게소 임대료 수입은 1838억원으로 공사의 주요 수입원이다. 하지만 수수료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어 제각각인 상황이며, 입점업체 1764개 중 62.8%인 1107개의 업체가 30% 이상의 높은 수수료를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한 휴게소의 경우 지난해 매출액이 169억7300만원이고 공사에 납부한 임대료는 31억8800만원이다. 이 운영업체가 11개 입점업체로부터 받은 수수료는 38억7900만원으로, 수수료만으로 임대료를 내고 6억9100만원의 수익을 가져가는 불합리한 구조인 것이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문제는 민간운영업체가 입점업체에 부과하는 수수료율의 규정이 따로 없어 운영업체는 입점업체에게 최고 58.5%에 달하는 수수료 요율을 적용하고 있다”며, “높다고 하는 백화점 평균 수수료가 30%대 임을 고려해 봐도 백화점보다 높은 수수료인 40% 이상을 내는 입점업체가 790개로 총 1764개 입점업체 대비 45%나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원은 “이 수수료문제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개선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고속도로 휴게소가 이용객들에게 여행의 좋은 추억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장소로 거듭날 수 있도록 운영방식 개선을 통한 서비스 향상에 매우 심각하게 검토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 최근 4602건에 달하는 사고의 원인자부담금을 징수하지 못해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도로공사는 관리하는 도로자산이 이용자의 행위로 인해 손괴 등 피해가 생겼을 때 원상복구를 위해 원인자에게 공사시행명령을 하거나 비용을 부과해 시설물을 복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부담금을 부과하고도 징수하지 못한 원인자부담금의 건수가 396건으로 그 금액이 41억1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매년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고, 또 원인자조차 찾아 내지 못하는 경우는 2013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4206건으로 피해 금액은 94억원이 넘어섰다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도로공사의 소극적인 태도로 원인자부담금을 부과하고도 징수하지 못하고 있다”며, “그리고 원인자를 확인하지 못한 건은 고속도로 이용자가 도로시설물을 손괴하고 도주해 발생되는데, 이 역시 CCTV 확인이나 구난업체 연락 등의 방법에만 의존하는 소극적인 대처가 증가하는 원인”이라고 질타했다.

이 의원은 “원인자를 찾아내지 못하는 경우가 지난 5년간 4206건으로 그 금액이 94억원이 넘어, 연평균 18억원에 달하는 세금으로 파손 물을 복구하고 있다”며, “원인자부담금 징수업무와 관련해 효율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대책마련과 원인자 미확인 시설물 파손사고가 줄어 들 수 있도록 특단의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