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시민단체들 광화문광장서 ‘가습기 살균제 참사’ 진상규명·피해대책 촉구

시민단체들 광화문광장서 ‘가습기 살균제 참사’ 진상규명·피해대책 촉구

기사승인 2019. 05. 08. 13:5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국가의 존재 여부에 회의…대책 없는 특조위에 원망"
190508 가습기 기자회견
촛불계승연대천만행동, 글로벌에코넷 등 10여개 시민단체들은 8일 오전 11시께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앞에서 ‘가습기 살균제 참사 진상규명·피해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조준혁 기자
촛불계승연대천만행동, 글로벌에코넷 등 10여개 시민단체들은 8일 오전 11시께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앞에서 ‘가습기 살균제 참사 진상규명·피해대책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들은 가습기 살균제 사태로 인해 사망한 1403명 중 237명만 정부지원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가습기살균제 제품의 제조·유통 등 관련기업 전수조사 및 검찰 고발 △가습기살균제사건 피해규모 및 피해자에 대한 전수조사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지원 대책 강구 등을 촉구했다.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애경대표 구속하라’ ‘SK케미칼 보상하라’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가습기 살균제 원흉 SK케미칼은 피해배상 실시하라” “가습기 살균제 전신질환 인정하고 판정기준 완화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김진관 한국환경시민단체협의회 회장은 “누적 사망자가 1400여명에 이르고 고통을 받거나 가정의 파탄에 이른 이들이 수를 헤아릴 수도 없다”면서 “그럼에도 국민의 건강과 신체를 보호해야 하는 정부가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선근 공정거래회복국민운동본부 상임대표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가습기 사태는 뿐만 아니라 나라의 근간인 양심적인 경제활동을 막은 대표적인 사건”이라며 “사건 발생뿐만 아니라 사건 이후 피해자들에 대한 정부의 대응 역시 우리아라의 환경 영역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알려줬다”고 밝혔다.

박혜정 가습기 살균제 환경노출피해자확인연합 대표는 “환경부와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전문가 용역발주가 아닌 고용형태로 신뢰할 수 있는 판정단을 구성해야 할 것”이라며 “진료기록 참고 등 피해구제절차와 처리기간을 특별법 제10조에 명시한대로 준수하거나 단축하고, 피해 판정을 환경부 장관 피해 인정으로 일원화 시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가습기 살균제 사태은 지난 2011년 폐손상증후군으로 잇단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17년 제정된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가습기살균제피해구제법)에 따라 피해자를 구제래오고 있다. 하지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가습기살균제 피해지원 종합포털에 따르면 피해자 5435명 중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3·4단계 피해자와 판정불가자가 4961명인 상황이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가습기 참사라는 참담한 사실에 기가 막힐 뿐이며, 국가의 존재 이유에 대해 회의적이고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은 특조위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궁금하다 못해 원망의 소리를 내뱉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