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미 국무부 “미, 한일 갈등 해결 위해 많은 활동 있어...한일, 과거보다 미래로”

미 국무부 “미, 한일 갈등 해결 위해 많은 활동 있어...한일, 과거보다 미래로”

기사승인 2019. 09. 28. 02:1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국무부 고위당국자 "한일 갈등 넘기 위한 많은 활동 있고, 계속 그럴 것"
"폼페이오 국무, 한미일 회담 8번, 최근 8월도 가져"
백악관 "미일 정상회담서 한미일 3자 안보 협력 중요성 언급"
폼페이오 국무
미국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26일(현지시간) 미 뉴욕에서 가진 유엔총회의 인도·태평양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한·일 갈등과 관련, 양국 간 해결에 방점을 두면서도 미 행정부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물밑에서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일각의 ‘방관론’에 대해 적극 반박했다. 아울러 한·일 양국이 과거보다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마아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이 이날 뉴욕에서 국무부가 주최한 ‘에너지 자원 거버넌스 이니셔티브’ 행사에서 개막사를 하는 모습./사진=뉴욕 AP=연합뉴스
미국 국무부는 한·일 갈등과 관련, 양국 간 해결에 방점을 두면서도 미 행정부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물밑에서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일각의 ‘방관론’에 대해 적극 반박했다.

아울러 한·일 양국이 과거보다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26일(현지시간) 미 뉴욕에서 가진 유엔총회의 인도·태평양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비춰 한·일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노력이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가 이 문제를 넘어서기 위해 하는 노력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런 활동이 없었다는 주장이 있었다”며 “많은 활동이 있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우리가 양측에 과거에 집중하는 것을 멈추고 미래를 향해 다시 노력하기 시작할 것을 독려하고 있고, 오늘도 이러한 종류의 활동으로 가득 차 있었다”며 “우리는 계속 그렇게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우리가 양국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정을 얻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한·미·일 3자 회담 개최의 장점이 있는가. 현시점에서는 여건이 맞지 않는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즉답을 피한 채 “우리는 과거에 3자 회담을 가져왔다는 점만 언급하겠다”면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 장관이 지금까지 8번, 가장 최근은 지난 8월 아세안 관련 외교 장관회의 당시 (한·미·일 3국 외교장관 회담에) 참석했고, 대통령도 두 차례 가진 바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분명히 이는 양국 모두의 관심사로, 단지 눈에 드러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무관심하다고 추정하지 말라. 우리는 분명히 관심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 정상과의) 회담에서 이러한 현안들을 제기했는가’라는 질문에는 대통령의 회담 세부 내용을 밝히진 않는다고 답했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 23일 뉴욕에서 진행된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는 지소미아 문제는 물론 한·일관계에 관해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25일 뉴욕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에선 한·미·일 3자 안보 협력의 중요성을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브리핑에서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 문제에 대해 유엔총회 기간 언급이 없었다’는 지적에 대해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할 때마다 그것은 역내 관심 사안이고 분명히 나의 관심 사안”이라면서도 보다 정확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에 답을 넘기는 게 좋겠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북·미 간 접촉상황 및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새 접근법 시사, 북·미간 협상 전망 등에 대한 질문에도 “훌륭한 질문”이라면서도 역시 비건 특별대표가 답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 받아넘겼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