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업은행, 내년부터 수십억대 인건비 절감 가능할듯

기업은행, 내년부터 수십억대 인건비 절감 가능할듯

기사승인 2019. 12. 12.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Print
IBK기업은행이 내년부터 인건비를 수십억원씩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내부규범 개정을 통해 계약직 신분인 부행장급 이상 임원들을 ‘1급 정규직’으로 분류하기로 하면서 보수체계 역시 바뀌기 때문이다. 집행간부 제도를 도입하기 이전인 2007년 체계로 돌아가는 셈이다.

다만, 사업부문을 책임지는 임원들의 신분과 보수체계가 정규직화되면서 성과급 역시 줄어드는 탓에 업무 성과 또한 줄어들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또 정년까지 보장되기 때문에 조직 효율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기업은행 일반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은 2007년 6500만원에서 지난해 7900만원으로 증가했다. 12년 동안 평균 연봉이 1400만원가량 증가했다. 반면 은행장과 전무이사(수석부행장)·감사 등이 포함된 등기 임원들은 2007년 2억8300만원에서 지난해 3억3200만원으로 평균연봉이 5000만원 가까이 뛰었다. 등기임원들은 올해 3분기까진 평균 2억9100만원씩 받아갔다.

기업은행 일반행원들보다 임원들의 보수가 더 늘어난 까닭은 성과급 지급 폭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일반 행원들은 상반기와 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 결과를 토대로 최대 200%까지 성과급을 지급받는다.

임원들의 경우 기업은행 내부규정에 따르면 ‘은행발전 등 경영상 특별히 필요하다고 은행장이 인정하면’ 특별성과급을 줄 수 있다는 규정이 있다. 기업은행은 2008년 집행간부 제도를 도입하면서 모든 부행장을 임원으로 분류하고 각 사업 부문별 자율성과 책임성을 높였다. 그러나 임원 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서 인건비 부담도 커졌다.

실제로 경영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을 보면 집행간부제도 도입 전인 2007년 36.3%에서 10년새 40%까지 치솟았다가 그나마 지난해 37.1%로 떨어진 상황이다. 올 3분기까진 38.5%를 나타내고 있다. CIR은 은행이 이자와 수수료 등으로 벌어들인 돈에서 인건비와 임대료 등 판매관리비로 얼마나 사용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CIR이 낮을수록 경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2007년 당시엔 은행장과 수석부행장을 포함해 ‘이사’ 직위를 달고 임원으로 분류된 부행장들이 8명에 불과했다. 이사가 아닌 부행장들은 이사대우·단장 등의 직위를 받긴 했지만 신분은 ‘직원’이었다. 2008년 집행간부 제도를 도입하면서 직원 신분의 부행장들도 모두 임원으로 분류하기 시작했다. 9월 말 기준 기업은행 임원은 김도진 기업은행장을 합쳐 총 18명에 달한다.

하지만 올 연말 임원인사부터 승진하는 부행장은 정규직 신분을 유지하기로 하면서 임원 수와 함께 인건비 또한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보수체계 역시 정규직 규정에 따르기로 했다. 다만 계약직인 기존의 부행장들은 소급 적용되진 않는다. 이번 규정 변경은 최근 감사원 지적에 따른 것이다. 감사원은 “기업은행이 2008년부터 현재까지 운용중인 ‘집행간부’는 기업은행법과 은행 정관에 따른 임원이 아닌 1급 직원”이라고 규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부행장 임기가 끝나도 퇴사하지 않으면 임금피크제에 들어가는 부행장이 탄생할 가능성도 높다. 정규직은 60세 정년까지 보장되는 국책은행 특성상 행원들의 평균 연령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얘기다. 또 성과급이 묶이면 경영 자율성 역시 요원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 국책은행 관계자는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사업 부문별 경영성과를 잘 낼 수 있도록 독려하는 성과급·연봉 등의 제약은 오히려 책임경영도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