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코로나19 ‘팬데믹’ 비상…은행들 해외점포 대책은

코로나19 ‘팬데믹’ 비상…은행들 해외점포 대책은

기사승인 2020. 03. 23.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이원근무제로 유효인력 확보
재택 대비 VPN 등 시스템 마련
본점 간 비상연락체계도 구축
basic_2018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적 전염병, 즉 팬데믹(pandemic)으로 번지면서 은행들의 해외 점포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다. 은행들은 해외 점포에도 이원화 근무나 재택근무 체계를 적용해 비상시 유효인력을 확보하는 한편, 대체사업장을 마련하는 등 업무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지난 18일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 위치한 카라와치 피낭시아 지점을 임시 폐쇄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폐쇄 사유는 해당 지점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발열 및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했기 때문”이라며 “아직 코로나19로 확진된 것은 아니지만,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 예방 차원에서 임시로 폐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나은행 카라와치 지점은 방역을 거쳐 23일 다시 문을 열 예정이다.

아직까지 하나은행 카라와치 지점 이외에 4대 은행의 해외점포 중에서 코로나19로 임시폐쇄 조치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세계적인 유행병으로 번지면서 이들 은행의 해외 점포도 결코 안심할 수 없게 됐다. 은행에 확진자가 다녀가거나 직원들 가운데서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이 있는 만큼, 각 은행들은 해외 점포 비상대응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직원들의 마스크 착용이나 손 소독, 주기적 방역 등의 실시는 기본이다.

clip20200322164809
임시폐쇄한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카라와치 피낭시아 지점. 사진=/구글맵
현재 4대 은행 중 글로벌 대응책을 가장 꼼꼼하게 마련한 곳은 하나은행이다. 하나은행은 과거 외환은행을 합병한 까닭에 해외 점포 수가 4대 은행 중 가장 많다. 그런 만큼 하나은행은 각 해외 지역과 지점별로 코로나19 관련 업무지속계획(BCP)을 마련하고, 전 지점의 대체사업장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일부 점포는 본지점과 대체사업장을 이미 듀얼 운영 중이다. 향후 재택근무가 확산될 경우를 대비해 가상사설망(VPN) 등 필요한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은 중국 내 점포에서 이원화근무, 재택근무 등을 활용하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우리나라처럼 신한은행의 점포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확진자가 발생하면 대체점포를 인근에 운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이원화 근무 등을 활용 확진자 발생 시에 다른 직원들이 대체할 수 있도록 유효인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베트남 등 다른 동남아 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유연근무 제도가 적용되지 않고 있어,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은행은 해외점포를 대상으로 비상점검회의 및 비상연락체계 가동, 중국 우한시 인근 방문 금지, 중국 지역 행사 참가 자제, 중국 주재 직원 및 가족 감염 여부 지속 모니터링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본점 내 ‘코로나 비상 대응반’이 설치돼 국내외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있다. 하지만 이원화근무나 분산근무 등은 이뤄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확진자가 나올 경우엔 점포 폐쇄가 불가피하다.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우리은행은 해외 점포와 본점 간 비상연락체계(핫라인)을 구축하고 글로벌 전략부가 컨트롤타워를 맡아 일 단위로 해외 점포의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재택근무 등은 아직 적용되고 있지 않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필요시 본점과 협의해 재택근무나 대체사업장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더이상 중국 등 일부 지역에만 국한된 감염병이 아닌 만큼, 보다 광범위하고 세부적인 해외 점포 BCP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은행들의 대응책은 주로 중국 지역을 중심으로 방안이 집중돼 있다. 동남아시아와 미주·유럽 지역 등에서 확진자가 발생하거나 방문했을 시에 점포 및 직원들을 어떻게 통제 및 관리할 것인지 충분한 대응책이 마련돼 있지 않다. 국내 영업점만큼 강도 높은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해외 점포의 경우 국내 점포와 같은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만큼, 비상사태 발생 전에 충분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해외 영업망이 위축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