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수십조 공적자금, 성과는②] ‘23년째 방황’ 대우조선해양을 바라보는 ‘6년차’ HMM

[수십조 공적자금, 성과는②] ‘23년째 방황’ 대우조선해양을 바라보는 ‘6년차’ HMM

기사승인 2022. 07. 21. 18:5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9조 수혈' 23년 차 대우조선해양
산은 자회사 인사 잡음 등 부작용
멀어진 경영정상화 파업 사태 당면
6년차 HMM 해상운임 호조 영향
지난해 영업익 7조 사상 최대 실적
채권단 극복 미래 대비 나서야
KakaoTalk_20220721_182813353
KakaoTalk_20220721_182039394
#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1도크는 지난달부터 50일째 전국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파업이 한창이다. 하청노조와 사측 협상이 이견을 좁히지 못한 탓이다. 조선산업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채권단이 경영을 좌우한지 23년째 대우조선해양은 또 다시 비상경영에 돌입했다.

# HMM은 2020년 2분기부터 36분기 연속 적자에서 벗어나 지난해 7조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창사이래 최대 실적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15조원에 이르는 중장기 경영계획도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HMM의 2대 주주인 해양진흥공사가 회사의 민영화 방안을 연구하는 용역 보고서 발주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적자금 투입 6년차' HMM과 '23년차'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정 반대의 분위기다. HMM은 해상운임 급증으로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지만, 대우조선해양은 민영화 시기를 놓쳐 여러 부작용에 시달리고 있다. 시장에서는 HMM이 대우조선해양과 달리 적절한 시점에 민영화에 성공할지 관심이 쏠린다.

21일 금융위원회와 해운업계에 따르면 HMM은 2016년부터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로부터 5조원대 공적자금을 수혈받아 경영정상화의 신호탄을 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해상운임이 급증하면서 역대 최대 매출 13조7941억원, 영업이익 4조9186억원을 올린 것이다. 올해 1분기에도 매출 4조9186억원, 영업이익 3조1486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HMM이 경영 역동성을 되찾았다고 보긴 어렵다. 최근 연 중장기 비전 발표회에서도 민영화를 포함한 구체적인 미래 전략은 내놓지 않았다. HMM의 민영화는 곧 공적자금 회수를 뜻한다.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보유한 약 40%의 지분 외에 2조원대 영구 전환사채권(CB)을 민간에 넘기는 것이다. 김경배 HMM 대표는 "대주주들과 민영화에 대한 시기나 방법 이런 논의가 아직 없었다"고 말했다. 최윤성 HMM 전략재무총괄 전무는 "(HMM의 민영화를 위해선 영구채를 보유한) 정책기관의 의사 결정이 중요하다"며 말을 아꼈다.

전문가들은 HMM의 정상화는 민영화라고 강조한다. 목익수 한국해양대 초빙교수는 칼럼에서 "HMM은 현재 은행 관리 체제하에서 과감하고 민첩한 미래 대응 전략을 추진하기 어렵다"며 "새 정부는 쓰나미가 몰려오기 전에 HMM을 민영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채권단이 경영과 인사를 좌우하는 상황에서 제대로 된 성장이 나오기 어렵다"며 "공적자금 투입으로 기업 체력을 되찾았다면 조속히 퇴원(졸업)해야 정상 기업이 된다"고 강조했다.
ㅇㅇ
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 등 관계자들이 21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앞에서 '대우조선하청투쟁 강제진압 반대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 긴급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
공적자금이 투입됐지만 민영화에 실패한 대표적 예는 대우조선해양이다. 대우조선해양은 2000년부터 산업은행 자회사 체제다. 2008년 매각 결정 후 한화를 우선협상자로 선정했지만 불발됐다.

산업은행 자회사로 10년을 넘기자 부작용도 나타났다. 2015년 2분기 대우조선해양은 3조1000억원의 영업손실을 발표했다. 무리한 저가 수주, 자회사 투자 등의 부실 경영이 폭탄이 돼 돌아온 것이다. 앞선 8년 간 흑자를 기록했던 터라 분식회계 논란이 불거졌다. 이듬해인 2016년에는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산업은행은 2015년 2조6000억원, 2016년 2조8000억원(자본확충), 2017년 2조9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지원했다.

2019년에는 '한국 조선 3사'의 한 축인 현대중공업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나섰다. 세계 최대 조선사로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고, 유럽 선사들과 협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피엔딩은 없었다. 현대중공업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 시도도 유럽연합(EU) 합병 심사당국의 승인 거부로 좌초된 것이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의 홀로서기와 경영정상화를 위해 외부 컨설팅을 진행했지만, 변화를 꾀하지 못하고 있다. 50일 째 이어진 하청노조 파업으로 비상경영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채이배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은 "대우조선해양은 공적자금을 투입해 경영 정상화를 이룬 다른 기업들과 달리 산업은행의 낙하산 인사 문제 등이 발생했다. 또 경영진이 저가 수주에만 매몰되도록 인센티브 구조를 잘못 짜는 등 산업은행이 부실경영의 책임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회생한 곳은 두산그룹이 대표적이다. 두산은 2020년 재무구조 악화로 약 3조원의 긴급 공적자금을 지원받았다. 박정원 두산 회장은 과감한 구조조정은 물론 사업 포트폴리오를 차세대 에너지, 산업기계, 반도체 및 정보기술로 재편했다. 두산그룹은 올해 3월 긴급 자금 3조원을 모두 상환하며 채권단 관리 체제에서 벗어났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