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미 국토안보부, 트럼프 집권 초기, 북한의 핵공격 대응 계획 점검

미 국토안보부, 트럼프 집권 초기, 북한의 핵공격 대응 계획 점검

기사승인 2023. 07. 12. 06:1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전 미 국토안보장관 고문 "2017년, 미 본토에 북 핵공격 상정"
"시나리오 검토, 대응 계획 점검...핵 분쟁 준비 안돼"
트럼프 '화염과 분노' 위협, 실제·전략 일환 평가 다양
북미 정상회담
2018년 6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호텔에서 공동성명을 채택한 후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 집권 초기 국토안보부 차원에서 북한이 미국 본토에 핵 공격을 할 경우에 대비해 여러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대응 계획을 점검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11일(현지시간)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당시 국토안보부 장관의 첩보·대(對)위협 담당 고문을 지낸 마일스 테일러는 18일 출간 예정인 저서 '역류(Blowback)-트럼프 재선으로부터 민주주의를 구하기 위한 경고'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폭로했다.

트럼프 당시 대통령은 2017년 8월 북한이 미국 본토를 사정권에 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 발사하자 "북한이 미사일을 계속 발사하면 전 세계가 보지 못한 화염과 분노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테일러는 이와 관련, "국가 안전보장 세계에서는 핵무기와 관련된 모든 사안은 잘 계획되고 세심하게 각본에 따라 극도로 민감하게 다뤄지지만 우리는 트럼프가 어떤 말을 할지 감조차 잡을 수 없었다"며 "어느 날 트럼프는 세계가 지금까지 한번도 본 적이 없는 것과 같은 화염과 분노, 그리고 힘으로 북한을 협박했는데 그는 핵 충돌을 거의 환영하는 것처럼 보였고 이는 우리를 두려움으로 몰고 갔다"고 회고했다.

제임스 매티스 당시 국방장관은 상황실 회의가 끝난 뒤 "여러분은 모두 우리가 전쟁에 들어가는 것처럼 준비해야 한다"고 심각하게 말했고, "국토안보부는 미국 본토가 절체절명의 위기에 있다고 가정해야 했다"고 전했다.

테일러는 "국토안보부 고위 관계자 전원을 소집해 고조되는 위기에 관해 논의했으며, 전문가들은 미국 본토에 대한 핵 공격과 관련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대응 계획을 점검했으나 최선의 시나리오 역시 끔찍할 정도로 암울하기는 매한가지였다"고 밝혔다.

이어 "자세한 내용을 공개할 수는 없지만 나는 진정으로 미국의 안전이 걱정됐다"며 "내가 보기에 국토안보부는 트럼프가 조장할 수 있는 핵 분쟁에 준비돼 있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테일러는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본토에 대한 핵 공격을 포함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실질적으로 전쟁에 나설 수 있다는 가능성을 검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고 덧붙였다.

마이크 폼페이오 전 미국 국무부 장관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화염과 분노' 위협이 북한과의 전쟁을 막기 위한 것이었고 성공했다고 평가한 바 있다.

니키 헤일리 전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2018년 12월 한 인터뷰에서 2017년 북핵 위기가 고조됐을 때 '미국이 실제 북한과 전쟁을 하려고 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면서도 "만약 북한이 무엇인가를 발사했다면, 그것이 미국 근처까지 왔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적으로 (군사행동을) 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헤일리 전 대사는 중국과 러시아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에 동참하도록 '광인(狂人) 이론'을 연상시키는 트럼프 대통령의 트레이드마크인 예측 불가능성을 이용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군사 공격을 감행할지도 모른다며 중·러 등을 설득했다는 것이다.

'광인 이론'은 상대에게 미치광이처럼 비침으로써 공포를 유발해 협상을 유리하게 이끄는 전략으로 과거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과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이 구소련을 상대로 썼던 전략이다.

2017년 북한이 핵 프로그램 개발에 속도를 내자 트럼프 당시 대통령은 '화염과 분노' '완전한 파괴'를 경고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핵 단추 크기' 설전을 주고받는 등 북·미 간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다.

그러다 2018년 북·미 대화 국면으로 접어들어 그해 6월 12일 싱가포르, 2019년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 2019년 6월 30일 판문점에서 각각 북·미 정상회담이 열렸지만 북한 비핵화와 관련한 실질적인 진전은 없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