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ELS 자율배상 포문 연 우리은행…은행권 속속 논의 돌입

ELS 자율배상 포문 연 우리은행…은행권 속속 논의 돌입

기사승인 2024. 03. 21. 18:4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하나·신한은행, 다음주 임시이사회 열고 자율배상 논의키로
농협, 이달 중 논의 일정 나올듯
배상액 1조 육박한 KB국민은행, 전수조사 진행 중
손실액 부담에 이달 결론 쉽지 않아
KakaoTalk_20240321_184244583
우리은행이 은행권 중 가장 먼저 홍콩 H지수 ELS(주가연계증권) 자율배상안을 내놓기로 하면서 다른 시중은행들도 적극적으로 배상안 논의에 들어갔다. 그간 금융당국의 분쟁조정 대표 사례를 기다려보겠다는 입장에서 이달 중 자율배상안을 발표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다. 은행들이 급작스럽게 ELS 자율배상 속도를 내게 된 배경에는 우리은행이 있다. 우리은행은 은행권 중에서도 ELS판매액이 가장 적을 뿐 아니라 배상액 수준도 100억원에 못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우리은행이 이사회에서 자율배상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히면서 하나은행과 신한은행도 다음주 임시 이사회를 열기로 했다.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4월 총선 이전까지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안과 배상액 등을 설명하고 자율배상안 안건을 이사회에 올릴 예정이다.

농협은행과 KB국민은행도 조만간 자율배상 관련한 일정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ELS판매액이 가장 큰 KB국민은행은 아직 전수조사 중인데다가 금감원의 분쟁조정기준안을 받아들일지에 대한 여부도 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금감원의 분쟁조정위원회 결과까지 나와야 구체적인 배상안을 정할 수 있지 않겠냐는 신중한 입장이다. 단순히 ELS 손실 50%에 배상비율을 40%로 가정할 경우, KB국민은행이 부담해야 할 배상액이 1조원에 달한다. 시중은행들의 배상액을 합한 금액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각각 22일, 27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ELS 자율배상안을 논의한다. 우리은행이 임시이사회에서 해당 안건을 결의하면 은행권 중 사장 선제적으로 자율배상에 나서는 곳이 된다. 우리은행은 ELS판매액이 400억원 수준으로 은행권 중에서도 가장 적다. 상반기 만기도래액이 370억원이라 예상되는 배상액(배상비율 40% 가정시) 50억원에 불과하다. 다른 은행들이 우리은행이 선제적으로 배상에 나서게 된 이유라고 보는 이유다.

지난 20일에는 하나은행이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열었지만 ELS 배상안 관련 내용은 논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선제적인 자율배상 주문과 함께 우리은행의 발빠른 대처가 압박으로 작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나은행측은 오는 27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관련 내용을 이사회에서 논의할 방침이다. 앞서 금감원이 내놓은 분쟁조정기준안에 따라, ELS손실 규모가 -50%, 배상비율을 40%로 단순 가정할때 하나은행의 배상액 수준은 1480억원이다.

이날 이사회를 연 신한은행도 다음주 임시이사회를 열고 ELS 자율배상안을 안건에 올려 결의할 방침이다. 신한은행은 앞서 금감원의 배상기준이 나온 직후 이사회에서 관련 내용을 설명하는 자리를 가진 바 있다. 오는 28일 이사회를 여는 농협은행 상황도 비슷하다. 농협은행도 이달 중 임시이사회를 열지에 대한 일정을 내부적으로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가장 큰 문제는 KB국민은행이다. KB국민은행도 이날 이사회를 열었지만 ELS관련 내용은 논의하지 않았다. KB국민은행은 은행권 중에서도 ELS판매 규모가 가장 큰 곳이다. 올 상반기 만기 도래액만 4조7000억원에 달한다. 앞서 단순 배상비율(40%)로 가정할 경우, KB국민은행이 부담해야 하는 배상액은 1조원에 가까운 수준이다. KB국민은행 한 곳의 배상액이 다른 시중은행들의 전체 배상액을 웃도는 셈이다.

현재 KB국민은행은 WM부서를 중심으로 ELS 가입건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 중이다. 사례가 많은만큼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금감원이 제시한 분쟁조정기준안을 수용할지에 대한 여부도 검토 중에 있다. 특히 KB국민은행은 오는 7월까지 만기가 계속 도래하기 때문에 당장 배상기준을 내놓기도 어렵다고 밝혔다. 다만 다른 은행들이 ELS 배상안 논의 일정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는 만큼 빠른 시일내 결론을 내겠다는 설명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당장 정확한 배상기준안과 배상액을 결정할 순 없어도, 고객들에게 기본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배상 수준 등을 안내하려는 차원으로 보는게 맞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부동산PF 정상화 위한 금융권·건설업계 간담회 직후 브리핑에서 "금감원은 (ELS배상 관련)현황을 파악한 후, 원인이나 개선 여지 등을 도출하는 작업을 이번주, 다음주부터라도 시작할 것"이라며 "이후 금융위에 보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ELS 판매금융사에 대한 제재 절차나 배상과 관련된 내용은 4~5월부터 본격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