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부동산PF 위기’ 저축은행, 9년만에 5000억원대 적자…건전성 적신호 켜져

‘부동산PF 위기’ 저축은행, 9년만에 5000억원대 적자…건전성 적신호 켜져

기사승인 2024. 03. 24. 18:2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저축은행發 금융위기 재현?]
지난해 5600억원 순손실···연체율 2배
basic_2021
저축은행업계가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 직격탄을 맞으면서 13년 전 악몽이 다시금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해 5000억원이 훌쩍 넘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데다 연체율도 급등하면서 '저축은행 사태'가 다시 입에 오르고 있는 것이다.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에 적신호가 켜진 이유는 고금리 여파로 인한 이자비용이 커진 데다, 부동산PF 관련 대손충당금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연체율과 부실채권비율 모두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다만 저축은행업계와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사태와 비교해 현재 건전성 지표는 안정적인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24일 금융감독원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업은 작년 555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2015년 이후 8년 간 누적 9조7000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순항했지만, 9년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주요 원인은 고금리 수신 유치로 인한 이자 비용 증가와 부동산 PF 부실 두 가지다. 부동산 PF 관련 자금경색 위기를 불러온 2022년 레고사태 이후 저축은행업권은 고금리를 내세우며 예·적금 고객을 유치했다. 이로 인해 작년 이자 비용은 전년 대비 2조4000억원 증가했고, 이자이익은 같은 기간 1조3000억원 줄어들었다. 예대금리차도 2022년 6%포인트에서, 작년 4.7%포인트로 하락했다. 부동산 PF 부실 위기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도 대폭 확대됐다. 저축은행업권의 PF대출 관련 대손충당금 비용은 2022년 2조6000억원에서 작년 3조9000억원으로 50% 확대됐다.

문제는 연체율이다. 작년 말 기준 연체율은 6.55%로, 전년 말 대비 3.1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8.02%)은 부동산 PF 부실 여파로 같은 기간 5.12%포인트 뛰었다.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년 대비 3.64%포인트 오른 7.72%를 기록했다. 이는 2011년 6월 이후 최고 높은 수치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로 채무상환능력이 약화되면서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그린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금융당국에서는 저축은행업권의 손실흡수능력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저축은행업권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은 14.35%로 집계됐다. 전년 말(13.15%) 대비 1.20%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법정기준 BIS비율 대비 약 2배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유동성비율은 192%로, 법정기준(100%)을 초과한 수준이다. 대출이 줄어들면서 위험가중자산이 줄어든 데다가, 자본 확충으로 자기자본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적자 규모 확대는 PF대출 예상 손실 가능성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한 데 주로 기인한다"며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 업권 모두 자본비율이 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