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코트라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진출, 자금조달 문제 풀어야”

코트라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진출, 자금조달 문제 풀어야”

기사승인 2024. 04. 05. 15:2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年16% 고성장中
케냐·나이지리아·남아공 등 개발 시작
미국·영국·독일·중국, 아프리카 진출
자금조달 어려움, 낮은 효율성 등 해결 필요
코트라 전경2
최근 아프리카 전역으로 스마트시티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자금조달, 효율성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발간한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동향 및 관련 유먕 산업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여러 국가들이 아프리카에 스마트시티를 도입하는 가운데, 비효율적인 인프라·자금조달 등 난항이 발생하고 있다.

아프리카는 아시아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로, 현재 14억명에서 2050년 25억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륙 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아프리카는 도시 집중으로 인한 인프라 부족 및 기후변화 문제로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시티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시장은 연간 16% 가량 성장 중으로, 2028년에는 약 200억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아프리카 주요 국가에서는 ICT 인프라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지만, 대부분 스마트시티 개발 프로젝트는 초기단계로 파악된다. 대표적인 스마트시티 개발 프로젝트는 △케냐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르완다 △모리셔스 △베냉 등 6개 국가다. 이들 6개 국가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자금조달을 위해 중앙·지방 정부예산을 확보 중이다.

미국·영국·독일·중국 등 주요 국가도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자금·시설투자 및 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도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참여 증진을 위한 기금과 기술을 지원 중이다.

우리나라 역시 경제발전 경험 공유사업(KSP), 경제혁신 파트너십 프로그램(EIPP)를 통한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코트라는 스마트시티에서 △ICT(IoT, 블록체인, 스마트홈)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및 건설 등 산업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인프라 효율성 등 여러 문제점이 있어 국민·민간·공공부문의 협력이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코트라는 도시지역 주민만 인프라를 활용하면서 투자대비 효율성이 낮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또 아프리카 대륙의 도시 인구 급증에 따라 빈민층이 도시 인구의 60% 가량을 차지하는 등 빈민층이 증가하고 있어 경제적 불평등, 실업률 등 문제로 이어져 막대한 노동력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정부의 부패 등으로 투명성 확보나 효과적인 재원분배가 어려워 개발 프로젝트가 크게 지연될 것으로 봤다.

코트라 관계자는 "스마트시티의 높은 구현 비용으로 인해 자금난, 필수적인 개발 지체, 한정된 예산으로 첨단 기술 도입 지연 등이 예상된다"며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국민, 민간,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참여 및 협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