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운암사 ‘신중도’ 경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기사승인 2024. 05. 19. 10:3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신중도는 1811년 조성해 운암사 극락전에 봉안
두루마리 형식 불화로 도난됐다가 환수한 귀중한 성보
운암사 신중도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운암사 '신중도'/문경시
경북 문경시 운암사 '신중도(神衆圖)'가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19일 문경시에 따르면 '운암사 신중도'는 1811년에 조성해 운암사 극락전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일반인이 시주발원한 역사성이 확인되며 1991년 도난 됐다가 2021년도에 환수된 귀중한 성보이다. 그림은 세로 161.5cm, 가로 142.8cm 크기의 두루마리 형식의 불화이다.

제작 화승은 같은 시기 제작되었던 '운암사 영산회상도'를 통해 수연 화승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제석천과 위태천을 화면 상단에 배치하는 신중도 형식은 19세기 초 경상북도 지역의 신중도 초기 양식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제작 화승인 수연은 홍안, 신겸을 잇는 사불산파의 대표적인 화승이지만 지금까지 그의 행적과 화풍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았는데 '운암사 신중도'를 통해 행적과 화풍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이번 경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을 통해 운암사는 경북도 문화유산자료 운암사 극락전 이후 두번째 문화유산을 소유하게 됐다.
주지 만성스님은 "환수문화유산인 '운암사 신중도'가 경북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 추후 같이 환수된 '운암사 목조대세지·관음보살좌상'과 '운암사 현왕도'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관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