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가정의달·부부의날에도… 남편 빈자리 익숙해요”

“가정의달·부부의날에도… 남편 빈자리 익숙해요”

기사승인 2024. 05. 21. 18:0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제복근무자 희생' 나누는 가족들
군인 남편 따라 4번 이사 김아름씨
교환일기 주고받으며 소통·위로해
소방·경찰관 "독박육아 아내에 미안"
7년간 직업 군인의 배우자로 살고 있는 김아름씨(39)가 자녀와 함께 찍은 사진.
"부부가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이 한없이 부족해요."

지난 7년간 직업 군인의 배우자로 살고 있는 김아름씨(39·여)는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하루 대부분을 군 부대에서 지내는 남편의 빈자리가 익숙하다. 자녀교육을 위해 기러기 가족 생활을 택하는 군인 가정도 많지만 "아이에게는 아빠가 필요하다"며 남편을 따라 부모님도, 친구도 없는 낯선 곳으로 4번이나 이사를 다녔다. 이제는 홀로 시간을 보내야 하는 부부생활에도 무뎌졌다.

김씨는 이처럼 남편과 소통할 기회가 적어 특별한 방법으로 속마음을 주고받고 있다. 밤낮 구분 없는 남편의 업무 특성을 고려해 고민 끝에 남편과 함께 교환일기를 써 내려가고 있다. 가끔은 서로를 위해 편지도 쓰고 있다.

김씨는 "소통시간 자체가 적다 보니 신랑은 제 말에 바로 답을 해줘야 한다는 압박을 받기도 한다"며 "문자나 카톡보다 일기나 편지를 쓰게 됐다"고 말했다.

21일 화목한 가정을 일궈 가자는 취지로 제정된 법정기념일 '부부의 날'을 맞은 가운데 제복근무자와 그 가족들은 나라와 국민 안전을 지키는 '제복의 무게'를 함께 견뎌내고 있다. 이들은 '가정의 달'임에도 국민의 안위만 바라보는 '제복의 품격'을 지키며 헌신과 희생이라는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

순직 소방관인 아버지의 유지를 잇고 있는 이기웅 대구119항공대장(37)도 올해 결혼 4년차 맞았지만, 가족과 함께 국민의 안전 수호라는 제복의 무게를 견디고 있다. 이 대장은 사고가 발생할 때면 가족의 걱정을 뒤로한 채 가장 먼저 현장으로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대장의 마음 한편에는 가족에 대한 미안함이 항상 자리 잡고 있다.

서울 지역 지구대·파출소에서 일하는 일선 경찰들도 가족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한 것은 마찬가지다. 서울 동대문경찰서 소속 지구대에서 근무 중인 A 경감은 "30년 경찰 생활 중 가장 후회되는 것은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한 것"이라며 "그간 모은 돈 대부분을 가족을 위해 썼지만 좋은 추억을 많이 쌓지 못했다"고 아쉬워했다. 서울 중랑경찰서 소속 지구대의 B 경감도 "아이 셋을 낳아 키우는 동안 잠을 설쳐가며 노력했지만 아내가 결국 육아독박을 썼다"며 "요즘은 육아휴직 등이 보장되지만 그마저도 육아휴직 기간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