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아시아 밀레니얼이 미래다] 허위정보·검열로 얼룩진 ‘양날의 검’ 인터넷

[아시아 밀레니얼이 미래다] 허위정보·검열로 얼룩진 ‘양날의 검’ 인터넷

기사승인 2016. 11. 17. 19:1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Print
자유로운 소통의 출구로 인식되며 사회 문화의 지형을 바꾼 인터넷. 그러나 허위 정보와 검열로 밀레니얼들을 위협하기도 한다.

AFP통신을 비롯한 주요 외신들은 구글과 페이스북이 15일(이하 현지시간) 거짓 뉴스를 공급하는 매체들의 광고를 차단해 허위 정보 유포를 막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는 최근 치러진 미국 대선에서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거짓 뉴스가 선거 결과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비난이 이어진 데 따른 조치다.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접하는 일이 일상이 된 밀레니얼들은 그만큼 정보를 습득하는 속도도 빨라 자칫 허위 정보를 통해 이득의 챙기는 사람들의 덫에 빠질 수 있다. 버즈피드뉴스는 앞서 4일 미 대선에서 특정 후보에 대한 가짜 뉴스를 유포해 돈벌이 수단으로 삼은 사례들을 전했다. 대표적인 예로, 대선 당시 익명을 요구한 한 FBI 요원의 말을 인용해 ‘이메일 스캔들’로 인해 내년 힐러리 클린턴의 기소가 확정된 것처럼 한 사이트를 통해 전파됐다. 이 뉴스는 페이스북에서 무려 14만 건 이상의 공유와 수많은 댓글을 발생시켰고, 해당 사이트 운영자는 구글 광고를 통해 수익을 챙겼다.

인터넷이 정부의 감시와 검열에서 자유롭지 않은 상황도 밀레니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를 더하고 있다. 비영리 인권단체 프리덤하우스가 15일 발표한 ‘인터넷 자유도 보고서’(Freedom on the Net 2016)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홍보 수단으로 부상한 각종 온라인 플랫폼들이 권력 기관의 잦은 감시와 검열에 노출되고 있다. 조사가 진행된 전세계 65개국 중 20개국이 검열에 노출된 인터넷 ‘부자유국’으로 나타났으며, 아시아 국가 중에는 중국·베트남·파키스탄·태국·미얀마 등이 포함됐다.

특히 중국은 2년 연속 최악의 인터넷 부자유국으로 꼽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집권 이후 마련된 ‘정보 보안’ 정책은 온라인상의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제한시켰고, 이에 기존의 감시와 검열에 맞서 온라인 서명·캠페인·시위 등을 벌여온 ‘디지털 운동가’들은 직격탄을 맞았다. 정보 보안 정책은 온라인상의 표현과 관련된 수십 건의 기소 사례를 낳으며 자기 검열을 강화시켰다.

개정된 형법에는 소셜미디어에 유언비어를 유포하는 행위에 대해 징역 7년을 부과하는 내용이 추가됐는데, 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정부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종종 이용되고 있다. 중국 본토에서 일부 소수 종교집단의 사람들은 휴대폰으로 종교 영상을 시청했다는 이유로 투옥되기도 했으며, 영국 이코노미스트지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지를 비롯해 민감한 사안을 다룬 기사 및 논평들이 차단 대상에 포함됐다.

자신의 생각과 신념을 온라인상에 자유롭게 공유하는 것이 익숙한 밀레니얼에게 이러한 검열은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보고서에 따르면 엄격한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를 따르는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의 인터넷 자유도는 전체 65개국 중 58위를 차지했다. 사우디에서는 올 2월 한 28세 남성이 트위터상에 신의 존재를 부인하고 이슬람 경전인 ‘코란’의 구절을 조롱하는 등 무신론을 전파했다는 혐의로 징역 10년과 채찍 2000대를 선고받았다. 로이터통신은 그 남성이 트위터상에 자신의 신념을 표현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뉘우치길 거부했다고 전했다.

수년 간 인터넷 ‘부분적 자유국’이었던 터키는 올해 부자유국으로 강등됐다. 터키에서는 올 7월 실패한 군부 쿠데타 이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 정부의 온라인 검열과 규제가 더욱 강화됐다. 당국은 반정부 시위·테러 등을 막기 위한 대책으로 온라인 매체들 폐쇄, 소셜미디어 차단, ‘불법’ 콘텐츠 삭제 요구, ‘명예훼손’ 혐의 기소를 단행하고 있다. 중동 전문매체 미들이스트아이에 따르면 터키는 이달 초 소셜미디어뿐 아니라 스카이프앱·왓츠앱 같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근도 금지시켰다.

터키의 민간부문 IT 종사자인 셈 솔루마즈는 “사람들은 인터넷이 자유로운 공간이라고 믿고 싶겠지만 그것은 사실 광섬유 케이블 인프라에 기반해있다”며 “우리는 물리적인 인프라의 통제 권한을 가진 조직이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권한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정부의 감시와 검열은 온라인 플랫폼이 새롭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사회 변화를 촉진하는 데서 비롯된 결과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인터넷이 정치적 책임을 요구하고 여성 권리를 신장시키고 또한 부당한 고발의 희생자를 지지하는 등 민주적인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밀레니얼들이 기억해야 할 점은 인터넷 상에서 접하는 정보들이 누군가의 이익과 권력에 의해 조작된 것은 아닌지 가려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