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여객선 침몰] 풀리지 않는 4대 의혹

[여객선 침몰] 풀리지 않는 4대 의혹

기사승인 2014. 04. 17. 15:4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탑승객 수·청해진 책임론·사고원인·느슨한 대처
피해자 가족 "정부로부터 버림 받은 것 같다"
청해진해운 소속 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해 피해자 가족들이 각종 의혹을 제기해 주목된다.

16일 오전 9시께 전남 진도군 해역을 지나던 세월호가 좌초됐다. 세월호에는 경기 안산시 단원고교에서 수학여행을 떠난 339명 등 모두 475명이 탑승했다.

하지만 △탑승객과 생존자 오류 △청해진해운의 당당함(?) △사고 원인 △정부 느긋한(?) 대처 등은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정부의 행태로 인해 피해자 가족들은 ‘국가로 부터 버림받았다’는 생각까지 하고 있어 파장이 권력 핵심부로 연결될지 우려된다.

17일 정부가 사실상 조기 구조작업을 마무리하면서 피해자 가족들은 정부와 청해진 해운 등에 대한 각종 불만을 쏟아냈다.

우선 사고 발생 처음부터 탑승객과 생존자 숫자가 제멋대로였다는 점이다. 실제 여객선 등을 탑승할 때 인적사항을 반드시 기재토록 돼 있다.

해당 기록은 해운업체가 보관한다. 이는 세월호처럼 사고가 발생할 경우 후속대책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번 사고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정부는 세월호 사고 발생 당시 탑승인원을 배제한 채 구조인원만을 발표했다.

실제 16일 1~2시간 간격으로 연 브리핑에서 구조 인원을 161명(오전 11시30분 브리핑), 179명(낮 12시30분), 368명(오후 1시)으로 오락가락했다.

심지어 안산시 단원고 학생 339명이 모두 구조됐다는 발표도 했고, 탑승객 또한 459명에서 475명으로 늘리는 행태까지 보였다.

이는 지난해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아사아나항공이 사고를 냈을 때 307명이 탑승했다고 제시한 것과 대조된다.

게다가 사고로 인한 사망자와 생존자, 실종자 등에 대한 명단도 제대로 공표하지 않아 피해자 가족들로부터 원성을 샀다.

더구나 사고 발생과 함께 세월호 이준석 선장과 선원 등이 가장 먼저 탈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청해진해운에 대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아 책임을 묻는데 인색하다는 지적이다.

사고 발생 후 정부의 대처 능력 또한 궁금증을 자아낸다. 정부는 16일 사고 발생 후 진도실내체육관에 꾸려진 피해자 대책본부에서 말 바꾸기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여 빈축을 샀다.

실제 정부는 16일 오후 6시 30분 바닷물 유속이 빠른데다 시계가 20㎝에 불과하다며 같은 날 저녁 11시께 재차 구조작업을 약속했으나 이뤄지지 않았다.

이어 17일 오전 0시 30분에 재개하겠다던 구조약속 또한 지켜지지 않았고, 같은 날 오전 7시가 넘어서야 잠수를 시도했을 뿐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피해자 측은 정부의 약속이행 여부를 위해 현장까지 나갔지만 실질적인 구조작업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게다가 선체를 상승시켜 생존자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 오락실 아래쪽과 식당 등에 공기를 주입해달라는 요청 또한 이뤄지지 않았다.

실종자의 생사여부 확인을 요구하는 피해자 측의 요구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정부는 이와 관련 “유속이 6노트에 달하는데, 잠수부의 최대 속도는 2노트에 불과해 구조작업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으나, 피해자 가족을 설득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피해자 가족은 또 정부가 구조작업을 위해 100여명이 넘는 인원을 투입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현장 확인 결과 거짓”이라고 주장했다.

이름 밝히길 거부한 한 피해자 가족은 “서민의 애들이 어두운 배 안에 갖혀 있는데, 장관 아들이 갖혔다면 지금처럼 느긋하게 구조작업을 하겠나”라며 “이번 사건을 보면서 우리는 정부로부터 버림받았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사고 원인 또한 암초에 의한 것인지 무리한 운항에 따른 컨테이너나 차량의 배 측면 충돌 등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