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메모 비공개·가짜 후송’ 논란만 키우는 국방부

‘메모 비공개·가짜 후송’ 논란만 키우는 국방부

기사승인 2014. 06. 27. 05: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오락가락 해명 일관 군 신뢰 추락…"당초 유족들 메모 공개 반대서 원칙적으로 메모공개 반대 안해" 궁색 해명만 늘어나

강원도 고성군 최전방 육군22사단 일반전초(GOP) 총기 난사 사고가 일어난 지 6일이 지났지만 국방부의 오락가락한 해명으로 오히려 새로운 논란만 갈수록 양산되고 있다.

이번 대형 총기 사고의 결정적 단서가 될 수 있는 총기를 난사한 임 모 병장(22)이 자살 시도 직전에 작성한 메모를 국방부가 25일 당초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국방부는 “희생자 유족이 메모 공개를 강력히 반대하고 있어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고 그 이유를 들었다. 하지만 희생자 유족들은 26일 임 병장의 메모를 공개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국방부가 유족들 핑계를 대며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고 최대한(21) 일병 아버지는 이날 “유족들은 임 병장의 메모 공개를 반대한 적이 없는데 국방부가 거짓말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유족들이 원칙적으로 메모장 공개에 대해서 반대하지 않았다”면서 “다만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에 공개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고 하루만에 말을 바꿨다.

김 대변인은 ‘국방부측 설명과 말이 바뀌었다’는 지적에 “언론에서 메모장 공개를 요구했던 시점은 우리들이 수사와 관련해서 진행이 별로 안 됐기 때문에 메모장 내용에 대해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고 궁색한 해명만 늘어놨다.

임 병장을 지난 23일 강릉아산병원으로 후송할 당시 구급차 4대까지 동원해 ‘가짜 임 병장 후송 작전’을 연출한 것에 대해서도 국방부의 해명이 또다른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국방부는 당초 ‘가짜 임 병장 후송’ 논란과 관련해 강릉아산병원에서 취재진을 따돌리기 위해 대역을 요청했다고 해명했다가 강릉아산병원 측에서 강력 부인하자 강릉아산병원과 계약을 맺은 강원129응급환자이송단에서 가상의 환자 운용을 요청했다고 말을 바꿨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도 25일 국방위에서 “강릉아산병원과 계약한 129의 요청으로 이뤄졌다”면서 “(129는) 강릉아산병원의 진입로가 좁고 취재진이 많은데 환자의 혈압이 떨어져 위험한 상황이어서 환자 보호를 요청한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임 병장 후송을 담당한 강원129응급환자이송단도 군 당국에 임 병장 대역을 요청한 적이 없다고 부인하고 나섰다.

강원129응급환자이송단의 한 관계자는 이날 “우리는 강릉아산병원에서 임 병장이 이리로 온다며 환자를 후송해달라고 해서 그렇게 했을 뿐”이라면서 “그 이상도 없고 그 이하도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우리가) 그렇게 할 이유가 있느냐”면서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되지 않느냐”며 국방부의 주장을 강하게 반박했다.

김 장관은 임 병장 대역 논란이 커지자 관련 부서에 경위 파악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국방부가 관계자들을 직접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희생 장병 유족들이 합동영결식을 하루 앞둔 이날 사건 원인과 관련해 전날 김관진 국방부장관이 국방위에서 “집단 따돌림이라는 현상이 군에 존재한다”고 한 발언에 반발해 앞으로 모든 장례절차 진행을 무기한 중단한다고 밝히고 나서 국방부를 더욱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군 당국이 임 병장의 메모를 공개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도 국방부가 유족들 핑계를 대며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족들은 김 장관의 발언이 “피해자가 마치 가해자인 것처럼 말해 희생 장병들에게 책임을 돌리려는 것 아니냐”며 크게 반발했다

한편 육군은 이날 전사망심사위원회를 열고 이번 총기 사고로 희생된 장병 5명에 대해 순직 결정을 내렸다.

육군은 근무 중 타인의 고의·과실로 발생한 사망에 대해서는 순직 처리한다는 규정에 따라 순직으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순직 병사에 대해서는 사망보상금 1억900여만원과 함께 매달 114만원의 보훈연금이 유족들에게 지급된다. 육군은 희생 장병 5명에 대해 1계급 추서를 결정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