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지난해 식량자급률 50% 육박

지난해 식량자급률 50% 육박

기사승인 2015. 03. 29. 11:0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지난해 식량자급률이 50%에 육박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3년 11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2014양곡연도 식량자급률(잠정)’이 전년(47.5%)보다 2.3%p 상승한 49.8%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사료용 소비를 포함하는 곡물자급률(잠정)은 전년(23.3%p)보다 0.7%p 상승한 24.0%로 집계됐다. 식량자급률은 2011년 이후 지속 상승하고 있으며, 곡물자급률은 2009년 이후 계속 하락했으나 14년 처음 상승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자급률 상승은 양호한 기상여건, 시장가격 호조 등으로 인한 쌀, 보리, 콩의 생산 증가에 의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4양곡연도 국내 곡물 총 생산량은 483만톤으로 2013양곡연도(457만8000톤)에 비해 5.5%(25만2000톤) 증가했다.

이와 관련 쌀은 재배면적 감소(1.9%)했지만 양호한 기상여건으로 생산량이 전년 대비 5.6% 늘었고, 보리도 최근 가격 호조로 재배면적(15.4%)과 생산량(46.7%)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콩의 경우 재배면적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었지만 기상여건이 좋아 생산량이 전년 대비 25.2% 늘었다.

또한 214양곡연도 총 곡물 소비량은 2009만톤으로 전년 대비 2.4%(1962만7000톤) 증가했다.

가정, 학교, 식당 등에서의 밥쌀, 밀가루 소비 등 식량용 소비량은 480만8000톤으로 전년 대비 약 1%(5만1000톤) 감소했다.

가공식품 및 육류 소비 증가 등 식생활 변화로 가공용 소비량은 431만9000톤으로 전년 대비 1.7%(7만2000톤), 사료용 소비량은 1038만1000톤으로 전년 대비 3.9%(39만4000톤) 증가했다.

사료용 소비를 포함하지 않는 식량자급률 상승폭(2.2%p)이 곡물자급률 상승폭(0.7%p)에 높았다.

농식품부는 2014년 자급률이 이전보다 높아졌지만 여전히 목표치에는 미치지 못하는 점을 감안해 올해에도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식량자급률과 곡물자급률 목표치는 각각 57%, 30%다.

우선 농식품부는 소비가 뒷받침되지 않는 생산 확대는 수급 불안 및 농가 소득 감소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기반 확충 및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소비 촉진을 병행할 방침이다.

여기에 자급률이 낮아 생산 확대 여력이 많은 밭 식량작물 위주로 자급률 제고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보리, 밀, 콩 등 식량작물과 조사료 등은 주산지 중심 공동경영체 육성, 밭농업 기계화, 답리작 활성화, 농식품 기업과 연계한 신수요 창출 등을 통해 생산과 소비를 동시에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이모작직불금을 기존 ha당 4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인상했고, 1월에는 이모작에 대해 단기 임대차를 허용하도록 농지법을 개정했다. 2월에는 국산 콩 두부를 중소기업 적합업종 적용대상에서 제외했다.

또한 봄 파종도 적극 추진해 약 5000ha를 추가 파종했으며, 현재 답리작 활성화 세부 추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T/F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답리작 활성화를 위해 ▲들녘경영체와 연계한 맥류시범단지 육성(14개소), 맥류 건조·저장시설 지원 등을 통한 품질 관리 강화 ▲답리작 실시 들녘경영체에 답리작 관련 시설·장비 지원 ▲답리작 작부체계별 생산매뉴얼 보급 ▲가공적성이 개선된 밀과 맥주용 보리 품종 개발 ▲국산 밀 제품을 판매하는 생협(icoop 등), 기업(SPC 등)과 계약재배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자급률이 높은 쌀은 규모화 된 들녘경영체 중심으로 품질을 제고하고 생산비를 절감하기로 했다. 특히 쌀 가공산업 육성, 쌀 소비촉진 홍보, 수출 확대 등을 통해 소비 감소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에는 특히 답리작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며 “답리작 면적을 20% 이상 확대할 경우 6~7000억원의 농가소득 증가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