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박근혜 대통령, 새누리당·국회 갈등 언제 어떻게 푸나?(종합)

박근혜 대통령, 새누리당·국회 갈등 언제 어떻게 푸나?(종합)

기사승인 2015. 07. 06. 00:1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당분간 '당청', '입법부' 거리두고 정책·민생 국정 현안 챙기기 주력...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새누리당 수습 기다리며 '메시지' 조절...정의화 의장·입법부 '충돌' 17일 제헌절 계기 해결 관측도
정의화 국회의장이 지난 3일 “가까운 시일 안에 한번 뵀으면 좋겠다. 시간 한번 내달라”고 박근혜 대통령에게 쉽지 않은 요청을 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즉답을 주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 의장은 이날 저녁 광주 유니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열린 광주 여름 유니버시아드 개막식에 참석한 박 대통령에게 다가가 짧게 악수 인사를 하면서 만남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행정부 수장인 박 대통령과 입법부 수장인 정 의장이 언제 적절한 시기와 장소에서 따로 만나 최근 입법부와 행정부 간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일단 입법부와 행정부, 대통령·청와대와 새누리당 간 당·청, 대통령과 여야 국회 정치권 등 갈등을 자연스럽게 해결하기 위한 계기를 굳이 마련한다면 오는 17일 제헌절 67돌 기념식을 계기로 만남을 주선해 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도 3일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하면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유승민 원내대표를 잠깐 만난 것으로 알려져 어떤 식으로든 당·청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서 조만간 적절한 계기와 만남을 가질 수도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당장 오는 6일 국회에서 박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재의를 요구한 국회법 개정안이 자동 폐기 처리되면 청와대나 여당 모두 유 원내대표 거취 표명에 따라 적절한 만남을 가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 시기가 바로 입법부 수장인 정 의장도 함께 참석하는 모양새를 갖춘다면 17일 제헌절을 계기로 만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울 수도 있어 보인다.

17일 제헌절이 아니면 3부나 4부 요인이 함께 공식적으로 참석하는 다음달 15일 광복절 70주년 기념식이 있다. 다음달 광복절은 당·청 간의 갈등이 좀더 수습되고 어느 정도 냉각기를 가진 후 새누리당의 새로운 원내사령탑 체제가 갖춰 진 다음에 만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당·청 갈등이 너무 장기화돼 여론의 부담이 적지 않고 새누리당의 원내사령탑이 청와대와 호흡을 맞출 수 있는 지도부가 들어선다는 보장이 있을 때나 가능한 시나리오여서 이 또한 불투명해 보인다.

일단 박 대통령은 당분간 당청 간 갈등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국정 현안과 정책 챙기기, 민생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5일 강도 높은 비판 이후 더 이상의 추가 언급을 하지 않았고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와 최악의 가뭄, 내수부진에 따른 경제위축 등 민생 현안에 주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달 25일부터 시작한 핵심개혁과제 점검회의를 이어가면서 오는 7일 국무회의에서는 민생현안 해결에 방점을 찍은 메시지도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일각에서 제기되는 유 원내대표의 6~7일 사퇴가 가시화되지 않을 경우 청와대가 또다른 메시지를 내놓을 수 밖에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들은 “박 대통령이 그렇게 말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당 상황을 지켜보자”고 했다. 청와대가 ‘유승민 명예퇴진’에 무게를 두고 당내 교통정리를 기다리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양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데 그것은 남은 임기 동안 아예 일을 하지 말라는 논리”라면서 “2년 반 남은 정권을 뒷받침하는 길을 당이 고민해야 하고, 이런 식으로 대통령의 발목을 잡으면 곤란하다는 걸 깨달아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국회법 거부권 정국 속에서 청와대 정무 기능 강화를 위해 조속히 청와대 정무수석을 인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지난 5월 18일 공무원연금법 개정안 처리 무산에 책임을 지고 조윤선 전 수석이 사퇴한 지 6일로 50일째가 되지만 청와대와 국회 사이의 소통 채널인 정무수석은 여전히 공석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