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소상공인 눈물 먹고 자란 ‘롯데’

소상공인 눈물 먹고 자란 ‘롯데’

기사승인 2015. 08. 20. 13:3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art_1327410963
롯데마트 전경.
서울 강서구 내발산동에서 슈퍼를 운영하는 김모 사장(58)의 하루 평균 매출액은 50만원이다. 이마저도 신통치 않아 슈퍼 운영이 어려워 폐업을 고민중이다. 불과 4~5년 전까지만 해도 하루 평균 매출액이 130~150만원 것과 비교하면 매출이 60% 가까이 줄었다. 인근에 롯데슈퍼 등이 생기면서 그동안 동네에 옹기종기 모여있던 11개 슈퍼들이 전부 폐업하고 혼자 남았다. 2년 전부터는 매출이 급락하기 시작하면서 식품기업에서 제품 수급도 끊겼다.

김 사장은 “현재는 중도매상을 통해 개인적으로 소량의 물건을 구매하는데 이마저도 대형마트 등과 비교해 제품이 다양하질 못하니 손님들이 전부 그쪽으로 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면서 “몇 년 동안 롯데슈퍼로 당한 피해는 말로 표현할 수 없다”고 말했다.

◆ 붕괴되는 韓 골목상권… 동네 슈퍼 폐업 속출

작년 기준 국내에 있는 전체 대형마트 수는 417개이며 이중 롯데마트 수는 105개다. 대형마트 전체 매출액 31조2733억원 중 빅3(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의 매출액 비중은 80.3%, 점포수는 77.7%에 달했다. 이외 대형마트보다 작고 일반 동네 슈퍼마켓보다 큰 유통매장인 ‘기업형 슈퍼마켓’으로 분류되는 롯데슈퍼는 272개였다.

중소기업청의 ‘2010~2014년 전국 시도별 나들가게 폐업 및 취소 현황’에 따르면 전국적으로는 1086곳이 폐업하거나 지정을 취소해 기존 점포 수(9111곳) 대비 11.9%의 높은 폐업률을 보였다.

롯데마트와 롯데슈퍼의 과다출점으로 인해 골목슈퍼와 소매업, 최근엔 식자재 도매업도 피해가 커 사업 조정신청을 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소상공인 보호에 필요한 적합업종 영역을 침범해 ‘상생’의 가치를 훼손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실제로 지난 2월 동반성장위원회는 롯데 유통업체들이 대규모 유통업법 위반 사항을 반영해 롯데마트, 롯데백화점 등에 대한 동반성장지수에 대해 하향 평가했다.

롯데가 복합쇼핑몰 출점(예정) 비중이 가장 높은 것도 문제가 됐다. 지난 3월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대기업 아웃렛 인근 동일업종의 중소상인 202명을 조사한 결과에서 대기업 아웃렛 출점 이후 지역상인들의 평균 매출이 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식업종의 경우 79%, 의류업종 53%, 개인서비스업 42% 감소했다. 정부차원의 대기업 아웃렛 규제요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이유다.

2015081801001777500095461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병화 기자 photolbh
◆ 한국골목 상권 쥐어짜 번 돈 대다수가 일본으로?

한국의 골목상권은 피폐된지 이미 오래다.

골목상권에 들어선 중소 유통상인들의 ‘힘들다’는 탄식이 여기저기에서 나오고 있다. 정부 주도의 동반성장 정책을 무색케하는 대목이다.

김동규 전국을살리기 국민운동본부 조직국장은 “롯데그룹과 관련해 중소상공인 피해 사례가 유난히 많이 발생해 지속적으로 문제제기를 하고 있지만, 신동빈 회장은 사죄와 재발방지책에 대해선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신동빈 회장은 지난 11일 대국민 사과를 통해 호텔롯데 상장과 416개에 달하는 순환출자고리를 연내 80%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소상공인연합회 및 시민단체들이 끊임없이 문제 제기한 노동시장과 유통시장에서 자행한 롯데의 불공정 행위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신 회장이 수백억 원의 개인 재산을 출연해 사회공헌 사업에 쓸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골목상권 해결방안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한국의 골목상권을 초토화시키고 벌어들이는 돈 대다수가 일본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롯데쇼핑은 롯데백화점·롯데마트·롯데슈퍼·세븐일레븐 등을 운영하는 대표 계열사다. 롯데그룹은 롯데홀딩스, L투자회사 등 일본 지주회사가 한국 지주사인 호텔롯데를 통해 롯데쇼핑, 롯데제과 등 한국 계열사 전체를 장악하는 구조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한국 롯데 6개 계열사(호텔롯데·롯데물산·롯데로지스틱스·부산롯데호텔·롯데알미늄·롯데캐피탈)에 대한 일본 측의 지분법 이익은 2034억원이었다. 연간으로는 대략 4000억원이 넘는 액수다. 올해 상반기 한국 롯데가 거둔 순이익 중 2000억원 가량이 일본의 롯데 계열사로 흘러들어 간 것이다.

롯데그룹 전체 매출의 95%가 한국에서 발생했지만 지배구조 최상단에 일본 법인이 상당수 포진돼 있어 사실상 대부분의 이윤을 일본 계열사가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