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美 보유자산 정상화, 10월 채권시장엔 영향 제한적”

“美 보유자산 정상화, 10월 채권시장엔 영향 제한적”

기사승인 2017. 10. 06. 16:3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s
이달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보유자산 정상화가 시작되는 가운데 채권시장이 받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2월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졌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세제개편안의 골자가 다시 한 번 경제 성장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감이 형성됐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6일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10월부터 미 연준의 보유자산 정상화가 시작되며, 축소 규모는 월 100억달러(국채 60억달러와 모기지 40억달러 등)부터다. 김수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보유한 국채 2조5000억달러와 모기지 1조8000억달러 등 자산규모에서 극히 작은 양이기 때문에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 초기에 채권 시장이 받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금리인상에 대해선 “연준이 금리인상에 있어 물가 목표치 ‘2%’에 대해 과거만큼 연연하지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세제개편이라는 확장적 재정정책이 연준의 이러한 긴축 기조를 뒷받침하면서 12월 금리인상을 지지할 전망”이라고 했다.

앞서 재닛 옐런 연준의장은 금리인상과 관련, “물가가 2%에 도달할 때까지 금리인상을 지연하는 것은 경솔할 수 있다”며 “너무 점진적이어선 안 된다”고 기존의 입장을 수정한 바 있다.

향후 미국 채권시장의 이슈는 차기 연준의장이 누가 될 것이냐에 집중되리란 판단이다. 김 연구원은 “옐런 의장 외에 현재 거론되고 있는 후보인 케빈 워시 전 연준이사나 게리 콘 미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등은 원칙론자에 가까워 이들이 임명될 경우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는 더 속도를 낼 것”이라고 했다.

한편 한국은 9월 마지막 주 들어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월 초 1.75%에서 1.89%까지, 10년물 금리는 2.28%에서 2.41%까지 오르며 연고점을 경신했다.

김 연구원은 “미 연준의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금리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면서도 “국내 금리가 이렇게 오른 가장 큰 이유는 북한과 미국의 갈등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로 외국인들의 주식·채권 매도가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의 한국 국가신용등급 발표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무디스는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한반도에서의 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국가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무디스는 빠르면 10월 한국 국가신용등급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 연구원은 “아직까지 실제로 북한 때문에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하락한 적은 없다”면서도 “이러한 ‘우려’가 지속된다면 외국인들의 원화 자산에 대한 익스포저 축소는 단기적인 이슈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그는 이어 “보험사 등 장기투자기관의 실수요가 남아있어 금리가 오르더라도 초장기물의 금리 상승은 상대적으로 제한될 것”이라며 “따라서 향후 수익률 곡선은 베어 플래트닝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