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15억 개 택배 배송…손이 모자라” 중국 택배 업체들 로봇·드론 손 빌린다

“15억 개 택배 배송…손이 모자라” 중국 택배 업체들 로봇·드론 손 빌린다

기사승인 2017. 11. 19. 16:5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CHINA-FUJIAN-ALIBABA-DRONE-DELIVERY...
사진출처=/신화, 연합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의 택배업체들이 로봇과 드론을 배송 현장에 속속 도입하고 있다.

일본 닛케이아시안리뷰의 18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하면서 상품의 배송을 담당하는 중국의 물류업체들에 과부하가 나타나고 있다. 택배 기사들의 인건비가 치솟는가하면, 그마저도 구하기 힘든 형편이다.

지난 11일 일명 ‘중국의 블랙프라이데이’로 불리는 연중 최대 온라인 할인판매 행사 ‘광군제(싱글데이)’가 열렸다. 이날 하루에만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선두업체인 알리바바 그룹은 1682억 위안(약 27조 85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일본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라쿠텐의 1년치 매출과 맞먹는 어마어마한 액수다.

이처럼 엄청난 매출을 올린 알리바바는 무려 15억 개에 달하는 상품을 배송해야 한다. 여기에 교환·반품되는 배송 물량까지 생각하면 중국의 배송 업계는 약 1달 간 꼼짝없이 마비될 상황에 처했다. 당장 광군제 다음 날부터 이같은 징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엄청난 양의 상품 박스가 각 물류 센터와 사무실 입구에까지 빽빽하게 들어찬 것.

특히 이러한 전자상거래 물품 배송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바로 최종 물류센터로부터 소비자의 문 앞까지 전달되는 과정이다. 중국 업체들은 이 과정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봇을 도입하는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음식 배달 서비스 업체 ‘Ele.me’를 운영하는 중국업체 상하이라자스정보기술(Shanghai Lazhasi Information Technology)은 지난 10월부터 자신들이 식사 배달을 담당하고 있는 일부 오피스 건물 입구 로비에 로봇을 설치했다. 팔이 달리지 않은 원통형의 이 로봇에 오전에 배달 직원이 도착해 식사와 음료 등을 로봇 내부의 저장고에 넣어두면, 이 로봇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각 층을 돌면서 주문자들에게 음식이 도착했다고 전화로 알려 찾아가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 업체의 유 리신 대표는 앞으로 배송 과정에서의 인건비 절감을 위해 더 많은 로봇을 현장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 제 2의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닷컴(JD.com)도 최소한의 인력으로 더 넓은 지역의 배송 문제를 커버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고심 중이다. 이 업체는 산시성(陝西省)과 장쑤성(江蘇省) 등에 지난해 6월부터 드론 배달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장쑤성 북서부 쑤첸(宿遷)시에서는 40여 대의 드론이 실제 배송에 투입되고 있다.

이 드론은 상품을 물류센터로부터 10㎞가량 떨어진 농촌 지역에 상품을 옮겨주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드론 배송을 활용하게 되면서 일상적으로 필요한 생필품을 사기 위해 30분씩 운전해서 시내의 슈퍼마켓까지 나갈 필요가 없게 됐다고 한 쑤첸 지역 주민은 밝혔다. 아직까지는 택배 상품을 소비자 각각의 집까지 배달하는 최종 단계에서 사람의 손을 한번 더 거쳐야 하는 실정이지만, 가까운 미래에 배송 마지막 단계까지 모두 드론이 해결하는 날이 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징둥닷컴 측은 인구밀도가 낮고 도로사정이 좋지 않아 전통적인 배송 시스템으로는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던 지역의 배송에 드론 배송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로봇·드론을 활용한 배송서비스 시장은 이제 막 걸음마를 뗐을 뿐,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 중국의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장은 지난 5년간 3배 이상 성장해 2016년 기준 시장 규모가 22조 9700억 위안(약 3803조 원)에 달했다. 식음료 배송 서비스 시장도 같은 기간 5배 가량 성장해 1662억 위안(약 27조 5000억 원)에 이르렀다. 이 두 시장은 현재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때문에 해외에서 저임금 노동자가 이 분야에 대량 유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배송 시장은 여전히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물류업체들에게 로봇과 드론의 도입은 모자란 인력을 채우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의 규제와 기술적인 난관 탓에 이들 물류업체들이 원하는 것 만큼의 빠른 속도로 로봇·드론 배송이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고 닛케이아시안리뷰는 지적했다. 중국에서 드론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허가가 필요하다. 하지만 올해 초 드론과 관련해 더욱 규정이 강화되면서 중국에서 드론 상업화의 문은 더욱 좁아졌다.

앞서 설명한 라자스와 같은 기업들은 로봇과 자율주행차를 음식 배송에 적극 활용하겠다는 목표지만, 이러한 자동화 시스템은 절도 등에 취약할 수 있어 이 부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