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눈] 한 철 입고 버리는 ‘패스트패션’ 지양해야 할 때

[기자의눈] 한 철 입고 버리는 ‘패스트패션’ 지양해야 할 때

기사승인 2018. 10. 04. 08:3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지희 기자
사진=생활과학부 정지희 기자
날씨가 제법 쌀쌀해지면서 새로운 옷 장만에 나서는 시기가 됐다. 두터운 가을·겨울옷을 양손 가득 사들고 다니는 이들을 쇼핑몰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대부분 ‘한 철만 입고 버린다’는 생각으로 구매한 옷들이라 가격도 큰 부담이 없다.

최근에는 특히 트렌드 변화가 빠르고 유행에 민감해 비싼 옷 하나를 사서 오래 입기보단 싼 옷을 다양하게 구매해 입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질보다 양’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지만,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소비 패턴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다는 점이다.

이 같은 ‘패스트패션’ 의류는 대량 생산되는 과정에서 유독 화학물질을, 세탁 과정에서는 플라스틱 섬유를 방출한다. 섬유 제품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매립 시 최소 500년이 소요되고, 소각 시에는 발암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방출한다.

패스트패션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재활용 소재나 친환경 소재로 의류를 제작하는 등 스스로 ‘윤리적 패션’을 지키고자 나선 업체들도 눈에 띈다. 그러나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 없이는 패스트패션에 익숙해진 소비자에게 윤리적 패션의 장점을 어필하기가 쉽지 않다.

실제로 홍콩의 경우, 정부가 패션 비영리단체와 협력해 소비자에게 지속가능한 패션의 중요성을 알리고 직물방적공장을 신설해 재활용 기술로 의류 폐기물을 되살리는 데 힘쓰고 있다. 미국 환경보호국은 섬유제조업체들을 ‘유해 폐기물 발생소’로 간주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패션업계와 지역 사회를 밀접하게 연결해 환경파괴에 최소화된 영향을 끼치는 의류 디자인과 소싱, 생산 혁신을 이뤄야 한다는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윤리적 제품의 생산 경로를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패션과 아닌 제품을 구분할 수 있는 라벨링 작업을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가격 절약이 아닌 환경보존에 더 큰 가치를 둘 수 있도록 소비자의 인식 제고가 필요한 때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