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일본, 강제징용 ‘부정’…‘징용공’서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공식 명칭 일원화

일본, 강제징용 ‘부정’…‘징용공’서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공식 명칭 일원화

기사승인 2018. 11. 11. 14:5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Japan India <YONHAP NO-6428> (AP)
지난달 29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도쿄 총리 관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공동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AP,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일제 치하 강제징용된 한국인을 기존 ‘징용공(徵用工·강제징용 노동자)’에서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바꿔 부르기로 했다.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해 일본 정부가 한국인 강제 동원을 부정하려는 노림수로 보인다.

11일 일본 NHK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달 30일 신일본제철(현 신일철주금)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배상 판결과 관련해 모든 사람이 징용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며 원고인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명칭을 이같이 일원화하기로 했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국회 답변이나 고위 관리 기자회견 등에서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주로 ‘징용공’ 또는 ‘민간인 징용공’, ‘민간징용자’라는 표현을 사용해 왔다.

일본 정부는 앞으로 국회 답변이나 정부 자료 등에서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옛 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일원화해 사용할 방침이라고 NHK는 전했다.

앞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한국 대법원의 배상 판결 이틀 뒤인 지난 1일 국회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구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는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며 “정부는 ‘징용공’이란 표현 대신 ‘한반도 노동자’ 문제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번 재판의 원고 4명은 ‘모집’에 따른 것”고 말했다.

고노 다로(河野太郞) 외무상도 지난 9일 기자회견에서 “이번 (한국 대법원 판결의) 원고는 징용된 분들이 아니다”라며 “모집에 응한 분이라고 정부는 이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징용’이란 표현을 쓰지 않는 이유에 대해 “현실이 그렇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고만 답했다. 고노 외무상의 발언 배경에는 아베 총리가 ‘한반도 노동자’로 언급한 것이 자리한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