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방사능 오염 비, 속수무책?

*방사능 오염 비, 속수무책?

기사승인 2011. 04. 06. 10:1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부 사후적 대응, 연구기관 관련연구없어
   
[아시아투데이=신종명 기자] 후쿠시마 원전 폭발 이후 일본의 방사성 물질에 대한 인접국가의 오염이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다.

정부도 합동점검단을 만들어 국내 원전 및 주요시설을 점검하고 나섰다.

그러나 방사능 비 등 2차 관련 피해에 관해서는 사실상 정부와 민간 연구기관 등 관련 기관들의 대응책은 없는 실정이다.

특히 국민들의 먹을거리를 책임지고 있는 농·축산 분야에서의 대비가 전무한 상황이다.

7일 전국에 20~70mm의 방사능비가 내린다는 예보까지 있어 더욱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6일 경기 양평군 서종면에서 밭농사를 짓고 있는 정홍진(63)씨는 방사능비에 대해 알고는 있지만 큰 대책을 세울 수 있는 부분이 없다고 말했다.

“뭐 온다 해도 할 수 없고, 큰 영향은 없을 거라 뉴스에서 그러던데. 믿는 수밖에...”

같은 지역에서 닭을 사육하고 있는 김 모(57)씨 역시 “비를 맞지만 않으면 되는 거 아니냐. 어차피 방사능이 포함돼 있어도 소량일 것"이라며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는 모습이다.

방사능비가 농작물이나 가축에 영향이 없기만을 바라고 있다는 것.

현재까지 방사능은 인체나 가축에 큰 피해를 일으킬 정도의 양은 아니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방사능 ‘무풍지대’였던 대한민국의 농가와 정부, 연구기관, 대학 등 관련 당사자들이 방사능에 대해서 안전 불감증을 느끼고 있는 것은 향후 더 큰 방사능 오염사건이 발생했을 경우 큰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정부와 유관기관은 현재까지는 아무런 관련 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

국립식량과학원, 국립농업과학원 등 농업과 식량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기관들은 방사능 관련된 연구나 대비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는 “지금까지 그쪽(방사능)으로 문제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연구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 역시 “전국 12개 지점에서 방사능을 측정할 수 있는데, 만약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농수산물의 안전성을 파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결국 농작물이 방사성 비를 다 맞은 후 기준치를 넘는 지에 대해 사후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다른 농식품부 관계자는 “너무 앞서서 대비하면 불안을 오히려 높일 수 있다”고 해명했다.

전문가들 역시 방사능에 대해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의 방사능에 관해 연구하는 한 교수는 방사능 비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묻는 질문에 대해 “별 관심이 없다”고 말했다.

국내 최고수준의 수의학과로 손꼽히는 대학의 방사능 전문가 역시 방사능 비에 대해 무신경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방사능은 바람 등을 타고 인근 지역으로 전파되고 흩어지는 동안 침강해 토양, 목초, 농작물을 오염시킨다.

또 배수를 통해 방출된 방사능은 바닷물이나 강물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방사능에 피폭될 경우 모든 생명체에는 △세포의 사멸·기능마비 △세포 돌연변이로부터 기인하는 지발성 영향(변이된 세포들이 생명체의 면역체계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계속 살아남아 자손세포를 생산해 나가다 암세포 등으로 변형되는 등의 만성 영향)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방사선이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로는 시버트(Sv) 등을 사용한다. 1Sv의 방사선에 피폭됐을 경우 사람은 5%의 암 치사위험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