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신제윤 한마디에 금융권 수장들 ‘좌불안석’

신제윤 한마디에 금융권 수장들 ‘좌불안석’

기사승인 2013. 03. 18. 16:0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금융권 "올것이 왔다" 대규모 인사태풍 예고
신제윤 금융위원장 후보자의 한 마디에 금융권 수장들이 잔뜩 긴장하고 있다. 

신 후보자가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필요시 (금융권 공공기관장의) 교체를 건의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신 후보자는 교체 여부를 검토할 대상으로 △금융권 공기업 △ 금융위가 임명 제청하는 기관 △주인이 없어서 정부가 대주주로 있는 금융회사를 꼽았다.

금융권에선 '올 것이 왔다'는 분위기다. 권혁세 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15일 교체된 것을 두고 사실상 인사태풍의 시작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상황에서 신 내정자의 한 마디가 촉매제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신 후보자의 이날 발언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1일 가진 국무회의에서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인사 문제를 직접 거론한 것과도 궤를 같이 한다. 박 대통령은 당시 '전문성'과 '국정 철학 공유'를 공공기관 인사의 원칙으로 내세웠다.

이에 따라 지난 정권에서 전문성 없는 '낙하산' 또는 새 정부와 국정 철학을 공유한다고 보기 어려운 'MB정부 사람'은 물갈이 될 가능성이 높다.

가장 먼저 고려되는 대상은 이른 바 'MB맨'으로 불리는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이다. 

이들은 전 정부에서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과 함께 금융권 실세라는 의미의 '4대 천왕'으로 불렸다. 

우선 강 산은금융 회장은 사퇴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강 회장은 임기는 내년 3월까지지만, 새 정부 출범에 부담을 느껴 신변을 정리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 우리금융 회장은 은행 업무에 정통해 '전문성'은 갖췄다. 하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과 고려대 동기라는 점, 강 회장과 더불어 대표적인 'MB맨'으로 꼽힌다는 점은 새 정부의 국정 철학을 공유한다고 보기 어려운 대목이다. 이 회장의 임기도 내년 3월까지다.

어 KB금융 회장은 7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 자연스럽게 교체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KB금융은 공공기관도, 정부가 대주주인 금융기관도 아니지만, 공공적인 성격이 큰 만큼 전 정부에선 입김이 작용했다.

금융권 공기업 및 유관협회 수장들도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특히 신 후보자와 이날 취임한 최수현 신임 금감원장으로 금융당국의 '라인업'이 갖춰진 만큼, 신 내정자가 취임하면 나머지 공공기관장의 교체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가장 우선적으로 거론되는 대상은 안택수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이다. 안 이사장은 지난해 7월 임기 만료로 퇴임 기자회견까지 열었다가 마땅한 신임 이사장 후보가 나타나지 않아 임기가 1년 연장됐다.

또 신 내정자(행정고시 24회)보다 행시 선배거나 동기인 관료 출신 금융기관장도 거취를 고심할 전망이다. 김정국 기술보증기금 이사장(9회), 진영욱 정책금융공사 사장(16회), 김용환 수출입은행장(23회), 장영철 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24회) 등이 이에 해당한다.

김 기술신용보증기금 이사장과 진 정책금융공사 사장은 각각 내년 8월과 9월 임기가 만료된다. 김 수출입은행장은 내년 2월까지다.

장 캠코 사장은 올해 11월 임기가 만료되지만, 박 대통령의 대선 1호 공약인 국민행복기금 업무를 맡고 있다는 점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종대 주택금융공사 사장과 박병원 은행연합회장이 내년 11월까지 임기가 남아있으며, 문재우 손해보험협회장과 김규복 생명보험협회장은 오는 8월과 내년 12월 각각 임기가 만료된다.

신동규 NH농협금융 회장은 내년 6월 임기가 만료되지만, 정부의 '입김'이 강해 임기보장 여부는 단정할 수 없는 분위기다.

증권가에서는 김봉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올해 12월, 우주하 코스콤 사장과 김경동 예탁결제원 사장이 각각 내년 1월과 8월 임기가 만료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전 정권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이 사퇴 압박을 받는 것이 옳지만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민간 금융회사의 경우 '관치' 또는 '낙하산' 인사가 재연될 수 있다.

신 후보자는 하지만 낙하산 인사에 대해 "결코 좋은 모양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최근 우리금융과 우리은행을 직접 지목하며 "관치가 사라진 자리에 정치가 판을 치고 내치가 횡행한다"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