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무분별한 자동차 대출…신용불량자 대량 양산 중

무분별한 자동차 대출…신용불량자 대량 양산 중

기사승인 2014. 12. 10.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외제차 유혹에 혹했다 빚더미에 신음하는 2~30대
캡처
자동차 구입을 하기 위해 캐피탈사 등으로부터 무리한 할부금융을 받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사진은 한 금융사의 광고로 기사와 직접적 관련은 없다.
할부금융사(캐피탈사)를 이용하는 금융소비자들이 금융채무불이행자(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데는 금융사들의 무분별한 자동차 금융상품 판매가 주요 원인으로 자리한다.

외제차 등 최신 자동차 구매 욕구를 부추기며 무리한 대출을 끌어다 쓰도록 하려는 전략으로 감당하지 못하는 부채를 떠안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사 묻지마 마케팅, 2금융권 집중

금융감독원과 KB금융경영연구소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자동차금융 시장 규모는 35조원(취급잔액 기준)이상으로 추정됐다.

문제는 이런 자동차금융 상품의 90%이상은 대출자의 빚 상환능력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은 캐피탈사 등이 취급하고 있고 대출자들도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금감원 집계에 따르면 자동차금융 잔액은 캐피탈·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사(여전사)가 98.6%(2012년 9월말 기준)로 은행권(1.4%)에 비해 압도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대다수의 자동차금융이 캐피탈사와 카드사를 통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사들이 자동차 구입이 어려운 소득계층에게도 할부금융 등 대출상품을 권해 무리한 구매를 유혹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특히 2~30대 젊은 층이 자동차 구입자금을 무리하게 빌려 감당하지 못하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경기도 수원에서 중고차 판매를 하고 있는 문 모씨(33)는 “주로 젊은 층들이 10%에 가까운 할부금융 금리가 부담이 돼 외제차를 구입한 지 1년도 못돼 중고차로 판매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전했다.

문 씨는 최근에도 30대 초반 고객으로부터 구입한 지 얼마 안 된 벤츠 승용차를 매입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보통 20대 후반부터 30대 초반 정도 되면 수입이 생기고 미래 수입을 예상해 미리 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등록제 허점, 유예할부금융 상품도 부실대출 원인

캐피탈사 등 2금융권이 신용등급이 낮은 차주에게도 이처럼 대출을 내줄 수 있는데는 정부의 허술한 관리도 한몫 했다.

여신전문금융업법(여전법)에서 할부금융업의 규제를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바꾸는 등 영업의 빗장을 풀어줬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소비자원의 조사를 보면 등록제 전환이 이뤄진 1998년 말 할부금융 신규취급 실적은 4조1392억원에 그쳤다.

하지만 등록제 전환 이후 12년이 지난 2010년에는 10조4532억원까지 할부금융 규모가 확대됐다. 등록제 이후 시장규모가 2.5배 이상으로 커진 셈이다.

이에 더해 201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취급되기 시작한 유예할부 상품도 자동차 금융의 확대에 불을 붙였다.

유예할부란 차량가격의 일부만을 일시 지불하고 나머지 원금과 이자를 추후에 상환하는 방식의 상품이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초기부담금이 적으니 자동차 금융 시장이 확대됐다. 원금을 뒤로 미루는 상품구조”라고 설명했다.

KB금융경영연구소의 이진충 연구위원은 “유예할부와 같은 상품들은 애초에 신용도나 자금여력이 많았던 사람들이 선택했던 상품이 아니다”면서 “젊은 층에서 자금여력이 없이 일단 자동차를 사고 원금에 부담이 가까워오는 시기가 되면 다시 차를 팔아 원금을 갚지만 결국 빚을 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대출을 받아 수천만원 이상 하는 외제차를 구입했지만 중고차로 되팔 경우 구매가격의 절반도 받지 못해 결국 대출금을 자기돈으로 충당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

이 연구위원은 “금융의 특성상 문제점이 만연하고 빈번해져서 수면위로 떠오르기 전까지는 업계 관계자들밖에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금융당국에서 이런 문제를 따로 조사하거나 집계하지 않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