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중국 증시,‘금융공산주의 유지’냐 ‘시장질서 따르기냐’ 관건

중국 증시,‘금융공산주의 유지’냐 ‘시장질서 따르기냐’ 관건

기사승인 2015. 07. 28. 13:1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중국 증시가 또 폭락했다. 정부가 지속적으로 막대한 자금을 투여해 불지피기를 하는데도 불구하고 한달 새 30%나 급락했다. 정부로서는 지급준비율도 인하하고 기준금리까지 내리는 등 사용가능한 모든 자원을 동원하고 있지만 정부의 계속된 시장간섭이 오히려 시장구조를 흔들면서 문제가 확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부에서는 이를 금융공산주의와 시장권력의 힘겨루기로 묘사하고 있다.

28일 중국 증권보 등 중국매체는 전날 상하이 종합지수가 장중 저가 기준으로 -8.61%나 떨어졌다며 종가기준 -8%이상 하락한 것은 1997년 이후 5번째라고 지적했다.

장 초반에는 그동안 상승에 따른 차익매물 유입과 인플레이션 상승 우려감이 중국 추가 경기부양에 대한 기대감을 완화시키더니 Caixin PMI제조업지수의 하락과 정부의 자금회수 가능성까지 악재가 겹쳤다.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이 중국 정부에 증시부양책을 철회하라는 권고를 했다는 보도가 유입되면서 본격적으로 하락을 시작해 ‘폭락’ 수준의 결과를 낳았다.

이런 결과에 대해 미 경제방송 CNBC는 “금융공산주의가 대가를 치르고 있다”며 ‘자초한 결과’라는 분석을 내놨다.

중국 정부는 지난 6월 말부터 7월 초까지 무려 40개에 달하는 증시 안정화 대책을 내놨는데 이 대책에 사용된 돈이 5조 위안, 중국 전체 GDP의 10%에 달하는 돈이다. 과도한 정부 개입이 시장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방해하는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도 정부 부양책으로 유동성이 늘어나면서 처음 주식에 투자하는 30대 미만 젊은층의 주식보유 비중이 2013년 36%에서 올해 1분기 62%까지 치솟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정부 정책의 변화가 감지되면 빠르게 돈을 회수해 중국 증시 변동성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상장사가 스스로 판단으로 무기한 매매를 정지할 수 있는 구조도 불안감을 가중시켜 자금이탈에 속도를 붙인다.

이달 초 중국 증시 변동폭이 확대되면서 “주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 있다”는 이유로 거래를 무기한 중단한 기업은 1400개로 상장기업의 절반에 달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정부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분석했다.

간섭을 중단하면 지금까지 쏟은 자금과 노력이 물거품이 되고 간섭을 계속하면 시장 왜곡이 더 심해져 불안감이 가중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정부는 지금까지의 스탠스를 고집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중국 증시가 폭락한 후 중국 증권감독위원회(이하 증감위) 대변인은 “증감위 보유 중국 증권금융공사가 주식을 매수했다”며 증감위가 하락 방어를 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중국 증권금용공사가 증시 안정역할을 계속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과도한 간섭을 중단하라는 IMF의 권고를 외면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