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돌고래호 실종자 표류예측 69.5km 오류…220억 혈세 낭비?

돌고래호 실종자 표류예측 69.5km 오류…220억 혈세 낭비?

기사승인 2015. 09. 20. 16:0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돌고래호 실종자의 실제 발견위치와 표류예측시스템상의 예측 위치와의 거리가 최대 69.5km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우남 위원장은 20일 해양수산부가 제출한 국정감사 서면답변서를 분석한 결과, 이달 6일에서 14일 사이에 시신으로 인양된 돌고래호 실종자들의 실제 발견위치와 표류예측시스템상의 예측위치가 9.5km에서 69.5km까지 차이가 났다고 밝혔다.

표류예측시스템은 정부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220억원을 투입하는 해양예보시스템 중 하나의 기능으로 조류의 방향과 유속 등을 근거로 표류된 선박 및 실종자 등의 위치를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2011년부터 해양과학기술원(KIOST)을 통해 개발되고 있으며 2013년부터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실용화해 해경에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표류예측시스템은 돌고래호 전복 사고에 있어 선박만이 아니라 실종자의 위치 예측에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우남 위원장에 따르면 해수부의 서면 답변서에서 14일 인양된 12번째 실종자를 발견한 지점은 하추자도 남동쪽 2.7해리 부근이다.

그러나 표류예측시스템이 같은 시각에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예측한 지점은 제주도 우도 동북쪽으로 발견 지점과의 거리는 69.5km나 된다.

10일 11번째로 인양된 실종자도 실제 추자대교 밑 해상에서 발견됐지만 표류예측시스템이 예측한 지점은 이로부터 남동쪽으로 48.2km나 벗어난 해상이다.

또한 6일 인양된 10명의 실종자가 발견된 지점 역시 추자도 인근이지만 예측 지점은 이로부터 동남쪽으로 9.5km~19.5km 떨어진 곳이다.

김우남 위원장은 해양수산부가 표류예측시스템의 문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격자(3km)를 사용하고 있어 이번 사고해역과 같이 섬과 복잡한 해안선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확도에 한계가 있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바꿔 말해 현 시스템은 가로·세로 3km 간격으로 그 안에 있는 조류 등의 정보를 평균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그 안에 조류 등에 영향을 주는 섬 등이 있는 경우는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는 것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해수부는 아직도 정확도가 낮은 3km 격자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컴퓨터 용량의 한계’를 제시했다고 김 위원장은 말했다.

하지만 용량 증설을 위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투입하는 예산은 약 7억원이다.

김우남 위원장은 “세월호 때도 그 기능이 도마 위에 올랐던 표류 예측시스템이 아직도 컴퓨터 용량 문제 하나 해결하지 못한 채 또 다시 무용지물이 돼 버렸다”면서 “표류예측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집중적인 예산투자를 바탕으로 사고다발지역을 시작으로 하는 기능강화 및 예측 검증 등이 즉각 이뤄져야한다”고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