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전경련 “내년 전자업종 제외 주력 제조업 어려움 지속”

전경련 “내년 전자업종 제외 주력 제조업 어려움 지속”

기사승인 2018. 11. 21. 15:4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제조업의 어려움이 내년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배상근 전경련 총괄전무는 21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19년 산업정만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통해 “최근 주력 제조업은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수출환경 악화, 국제 경쟁 심화, 글로벌 공급과잉 지속, 노사갈등 등 경영악화로 총체적 난국에 직면해 있다”라며 “지속될 경우 실물발(發) 경제위기로 경기침체의 강도가 깊고, 지속 기간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김현 메리츠종금증권 기업분석팀장 등 산업별 전문가들이 반도체, 자동차/자동차부품 등 6개 주력 제조업과 건설업 전망을 발표했다.

이날 세미나 연사로 참여한 전문가들은 내년 국내 주력 제조업 업황이 전반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종별 판도는 3약(자동차·철강·석유화학), 2중(반도체·조선), 1강(전자)의 양상으로 예상했다. 전자업종을 제외한 자동차·철강·석유화학·반도체·조선업종의 업황이 부진하거나 불투명한 것이다.

우선 자동차 분야의 경우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에 따른 관세부과 및 수출물량 제한 가능성, 리콜 등 품질비용 증가추세, 중국시장 부진에 따른 장기 저성장 기조 지속 등으로 업황 부진이 이어질 전망이라는 게 이들의 진단이다. 다만 SUV 흥행에 따른 신 모델 출시, 세단 모델 생산라인 가동률 축소를 통한 재고 수준 안정화 등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철강산업 구조조정과 감산정책,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촉발된 2016년부터의 철강경기 호황 사이클은 올해 일단락되면서 내년부터는 조정 국면이 예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 중국 철강산업 구조조정 마무리, 감산 기대 저하 등이 주요 원인이다. 세계철강협회(WSA)는 2019년 철강소비 증가율을 올해 2.1%에서 0.7% 둔화된 1.4%로 예측했다.

아울러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북미 천연가스 기반 화학 설비(ECC) 신증설 등 공급 증가 요인이 맞물리면서 업황이 악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유가 하향 안정화에 따라 원료가격 부담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정유 분야는 2019년 하반기부터 선박용 연료유 규제인 ‘IMO 2020’ 시행으로 친환경 고부가 석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반도체 산업의 경우 D램의 경우 최근 현물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내년에는 신규 스마트폰 출시, 리니지2M 등 고사양 모바일 게임 출시 본격화, 프리미엄 노트북 수요 강세,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른 수급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반대로 낸드플래시는 기존의 공격적인 설비증설 영향으로 2019~2021년에 걸쳐 공급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가격 상승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의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에 대한 반독점 규제 적용 여부,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의 조사 가능성 등도 부정적 요인이다.

아울러 중국 조선업계 구조조정, ‘IMO 2020’ 환경규제로 친환경선으로의 선박 교체 발주 호재가 있지만, 글로벌 오일 메이저사들에 의해 증가되고 있는 해양생산설비 입찰을 2017년부터 중국, 싱가포르, 노르웨이 업체가 수주하면서 국내 조선사 경쟁력이 약화된 점은 부정적 요인이다. 기계 업종은 주요 수출국인 중국과 미국의 인프라 투자에 대한 정책 발표가 없다면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배터리, 멀티 카메라 중심으로 실적 성장세 지속이 예상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아울러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증가에 따른 판매가 인상 가능성, 테슬라 모델3을 중심으로 한 전기차 확산과 전장화 추세 확대, 배터리 원자재 가격하락 등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미중 무역분쟁과 미국 금리인상 등에 따른 신흥국 경기 불안 등은 부정적 요인이다.

건설업, 비제조업 분야에서는 주택규제 때문에 2018년에서 2019년으로 이연된 신규 분양 증가, 분양가 상승 및 도급액 증가, 광역철도 등 SOC와 개성공단, 남북철도, 금강산관광 등 남북경협 기대로 국내 관련 경기 전망이 밝다. 해외에서도 이란제재 재개에 따른 중동권 가스 공급 부족으로 관련 발주가 증가할 전망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