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세계 최초 ‘디지털 아리수 온’ 가동…서울 상수도 정보 실시간 통합관리

세계 최초 ‘디지털 아리수 온’ 가동…서울 상수도 정보 실시간 통합관리

기사승인 2022. 03. 21. 14:5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동파·누수·수질 등 133종 상수도 빅데이터 한 눈에 파악
사본 -구아미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장_1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 17일부터 세계 최초 실시간 공유 플랫폼 ‘디지털 아리수 온’을 통해 물관리 일원화에 나섰다. 구아미<사진> 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교통정보 시스템과 연계된 폐쇄회로(CC)TV로 현장 상황도 주시할 수 있고 각종 상수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어 상수도 행정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제공=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매년 3월22일은 유엔(UN)이 정한 ‘세계 물의 날’이다. 물은 생존을 위한 필수자원으로 투자가치가 높은 분야다. 지속가능한 물관리가 전세계의 화두인 까닭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아리수’의 세계화를 위해 서울시가 디지털 플랫폼 ‘아리수 온(ON)’을 선보이고 선제적인 물관리 일원화에 나서 주목된다.

21일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디지털 아리수 온’은 지난 17일부터 업무에 적용됐다. 실시간 통합 공유 플랫폼을 구축해 물관리를 일원화 한 것은 세계 최초다.

디지털 아리수 온은 누수와 동파 상황, 현재 수질 상태 등 상수도 분야 정보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지난 2020년 9월 개발에 들어가 지난해 1단계 서비스가 완성됐다. 상수도 관련 15종의 시스템을 연결해 133종의 정보를 볼 수 있다. 취수와 생산·수질·안전과 재정 등 7가지 분야 정보는 실시간 수집·분석하는 방식으로 발전시켰다.

특히 위치기반 실시간 데이터를 지도 위에 시각화된 데이터를 통해 전체 현황과 시간에 따른 추이 변화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신속한 정책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 상수도사업본부 측의 설명이다.

주요 정보는 정수센터별 공급지역 또는 자치구별·수도사업소별로 구역을 설정해 실시간 분포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예를 들어 올 겨울 동파가 발생한 지점과 전년도의 동파 발생 분포도를 비교해 취약지역을 찾아 예방조치를 강화하거나 수질 민원이 잦은 지역을 신속히 파악해 공급계통의 이상 여부를 선제적으로 점검하는 등의 새로운 행정 서비스가 가능해진다는 얘기다.

구아미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
구아미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제공=서울시
디지털 아리수 온을 통해 상수도 현장과의 양방향 소통과 모니터링도 한층 강화됐다. 일상적인 현장 안전 점검은 물론, 누수와 수질사고 발생 시 원격지에서도 신속하게 현장과 소통할 수 있도록 원격 화상회의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사 및 사고 현장에서 현장 감독 전용 모바일 통신기기를 통해 본부 상황실과 연결해 관련 공사이력·관종·매설연도 등 필요한 데이터를 공유하며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다.

아울러 하루 평균 수돗물 생산량, 유수율, 수질검사항목 등 29개의 상수도 핵심정책지표를 주기적으로 현행화 해 각 부서에서 추진상황을 수시로 점검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업무 효율을 극대화했다.

시는 디지털 아리수 온 구축으로 향후 누수 신고 접수 시 신속한 사고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아미 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배수지 등 급수계통을 확인해 단수 피해를 막고 실시간 수질 자동측정기 값을 보며 수질 모니터링을 한다”며 “복구완료 때까지 교통정보 시스템과 연계된 폐쇄회로(CC)TV로 현장 상황도 주시할 수 있고 각종 상수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어 상수도 행정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아리수 온은 현재 내부 직원 공개용이지만 시스템 활용도 평가 후 정보공개 범위를 검토해 일부 정보를 시민에게도 공개할 계획이다. 구 본부장은 “위치기반 시각화 서비스를 통해 상수도 빅데이터를 한눈에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현장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산재된 데이터를 통합관리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으로 문제에 접근하고 최선의 해결책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