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설 명절 이산가족상봉 여부 촉각…南 제의 北 수용땐 28개월만에 성사

설 명절 이산가족상봉 여부 촉각…南 제의 北 수용땐 28개월만에 성사

기사승인 2018. 01. 09. 18:4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평창올림픽 대표단 파견규모도 관심…예술·참관단 최초로 참가
남북 동시 입장
우리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북측 수석대표인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 양측대표단이 9일 오전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집에서 열리는 남북고위급 회담을 위해 입장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북한이 9일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내달 평창겨울올림픽에 대규모 대표단을 파견하겠다는 의향을 밝히면서 그 규모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또한 우리 측이 밝힌 설 명절 계기 이산가족상봉 추진 제안에 대한 북측의 수용 여부도 관심거리다.

◇부산 아시안게임에 총 650명의 대표단 파견하기도

한국에서 개최된 종합스포츠대회에 북한이 선수·응원단 등 대표단을 파견한 것은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2003년 대구 여름유니버아드,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등 지금까지 총 세 차례다. 하지만 그 규모 면에서는 이번 평창올림픽 파견 대표단이 사상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북측이 밝힌 대표단에 지금까지 스포츠대회에 파견했던 선수단과 응원단 외에 예술단과 참관단, 태권도 시범단까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의 경우 북한은 선수단 362명, 응원단 288명 등 총 650명을 보낸 바 있다.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는 선수단 273명만 보내 그 규모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황병서 당시 군 총정치국장과 최룡해 당 부위원장,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등 이전까지 파견되지 않았던 고위급 대표단이 포함돼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일단 선수단이나 응원단 규모 자체는 그리 크지 않을 전망이다. 빙상·스키 등 개인종목 수가 더 많은 겨울올림픽 특성상 대회에 참가할 수 있는 티켓을 확보한 선수가 별로 없는데다 아이스하키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트 등을 제외한 대부분 종목의 경우 응원이 여의치 않아 대규모 응원단이 파견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관심을 끄는 대목은 그동안 한번도 한국에 보낸 적이 없는 예술단과 참관단이 어느 정도의 규모로 꾸며질 지 여부다. 이번 회담에 참석한 천해성 통일부 차관이 “어떤 범위에서 어떤 분들이 참여를 생각하는지 확인해보겠다”며 명확한 언급을 피했지만,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 등 고위급 대표단이 대거 파견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예술단과 참관단 규모도 상당한 수준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南, 설 이산가족상봉 제의…北 수용시 2년4개월만에 성사

이번 회담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우리 측이 설 명절을 계기로 이산가족상봉을 추진하자고 제의한 대목이다. 당초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의제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던 만큼 이는 다소 전격적인 제의라고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다. 북측도 이 같은 남측의 제의에 구체적인 확답을 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만약 북한이 평창올림픽 참가에 이어 설 명절 계기 이산가족상봉 문제까지 합의하면 평창뿐만 아니라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도 남북 간 대형 이벤트가 벌어지게 된다.

물론 변수도 있다. 북한은 지난해 6월 조평통 관계자의 외신 인터뷰라는 형식을 통해 중국의 북한식당에서 일하다 집단 탈북한 여성 종업원들의 송환 문제를 이산가족상봉 조건으로 제시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동안 북한이 이산가족상봉에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의 전제조건을 내걸었던 점도 고려대상이다. 평창올림픽 참가와는 달리 과거 이산가족상봉이 실제 추진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걸렸던 점도 걸림돌이 될 공산이 크다.

다만 이번 설이 내달 16일로 같은달 9일 개막하는 평창올림픽 기간에 포함돼 있다는 점은 북한의 긍정적인 답변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으로 보인다. 여기에 이날 리 위원장이 기조발언을 통해 “한반도 평화적 환경을 보장하고 민족적 화해와 단합을 도모하고 남북간 제기되는 모든 문제들을 대화와 협상을 통해 풀어나가자”고 밝힌 것은 평창올림픽 참가 외 다른 의제에 대한 합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