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KF-X 핵심장비 ‘AESA 레이더’…한화탈레스가 만든다

KF-X 핵심장비 ‘AESA 레이더’…한화탈레스가 만든다

기사승인 2016. 04. 20. 18:3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군, 북한군 전차 파괴 유도무기 '현궁' 실전배치
대북 정찰위성 사업, 국내기술 최대한 활용키로
KF-X 전투기 개발사업 드디어 시동
/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 제공
한국형 전투기(KF-X)에 탑재되는 장비 중 핵심으로 꼽히는 ‘AESA(다기능위상배열) 레이더’의 국내개발 우선협상 대상 업체로 한화탈레스가 20일 선정됐다.

방위사업청은 이날 국방부 청사에서 한민구 국방부 장관 주재로 제94차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KF-X 체계개발사업의 AESA 레이다 우선협상 대상업체 선정 결과’를 의결했다.

KF-X의 눈이라 불리는 AESA 레이더는 적 전투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투기와 공중전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장비다.

이 레이더는 지난해 KF-X 사업 추진 과정에서 미국 정부가 기술이전을 거부하면서 논란을 일으켰던 4가지 핵심기술 중 하나다. 이외 IRST(적외선 탐색 추적장비), EOTGP(전자광학 표적 추적장비), RF 재머(전자파 방해장비) 기술 등이 있다.

미국의 기술이전 거부로 인해 국내에서 개발하고 체계통합하는 것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지난 2월 AESA 레이더 개발과 체계통합을 맡은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시제품 제작 업체를 모집 공고를 냈고, LIG넥스원과 한화탈레스간 경쟁구도로 우선협상 업체 선정이 진행됐다.

당초 LIG넥스원이 선정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한화탈레스가 기술능력평가와 비용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최종 선정됐다. ADD는 추가 협상을 진행한 뒤 오는 6월 정식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기술 교류 등을 통해 AESA 레이더를 2020년쯤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날 방추위에서는 △보병용 중거리유도무기(현궁) 첫 생산계획안과 △군 정찰위성 확보사업(425사업) 사업추진 기본전략 수정안 △울산급 Batch-Ⅱ 후속함 건조계획안 △검독수리-B Batch-I 후속함 양산계획안 △훈련함 체계개발기본계획안 등도 의결됐다.

우선 2007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ADD 주관으로 개발한 현궁을 앞으로 7년간 육군 전방부대와 서북도서의 해병대에 실전 배치키로 했다.

‘폭풍호’ ‘선군호’ 등 북한군 전차를 파괴하는 데 동원되는 현궁은 기존의 노후화된 대전차 무기인 90㎜·106㎜ 무반동총과 토우 대전차 미사일을 대체하게 된다. 야간 사격을 할 수 있고, 관통력이 우수한 현궁이 전력화되면 대전차 유도공격 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청은 “160여 개의 중소기업이 현궁 생산에 참여해 국내 고용 창출과 경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북한 전역을 감시하는 군사 정찰위성 도입사업(425 사업)도 연내 착수하기로 했다. 국외에서 모든 부품을 도입하려던 계획을 수정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국내 업체 등이 보유한 국내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사업추진 기본전략을 변경했다.

군은 북한의 핵·미사일 시설을 밀착 감시할 수 있어 ‘킬 체인’의 핵심 전력으로 꼽히는 군사 정찰위성을 2020년 1기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모두 5기를 전력화할 계획이다.

425 사업은 당초 지난해 10월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었지만 위성 관제 및 운용 주체를 놓고 군과 국가정보원의 견해가 엇갈렸고 이런 와중에 관련 예산이 대폭 삭감되어 일정이 늦춰졌다.

이외에도 방추위는 노후화된 참수리급 고속정(PKM)을 대체하는 차기 고속정을 국내 건조로 양산하는 계획을 의결했다.

200t급으로 76㎜ 함포와 130㎜ 유도로켓 등을 장착한 차기 고속정이 전력화하면 서해 북방한계선(NLL) 부근에서 북한의 국지도발 등 상황 발생 때 즉각적인 현장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1, 2연평해전의 주역인 PKM보다 화력, 기동성, 생존성이 향상됐다.

첫 번째 함은 국내 연구개발로 설계되어 건조 중이고, 후속함도 국내에서 양산된다.

아울러 3000억원을 투입해 전용 훈련함도 확보하기로 했다. 훈련함은 연안·원양 항해실습 및 보수 교육과정의 실습용으로 사용되지만 해난·재난 사고 때에는 구호활동 지원함으로 임무를 수행한다. 전시에는 의무지원함이나 병력수송함으로 운영된다.

방사청은 “훈련함이 전력화되면 전투함을 차출해 실습함으로 운용하면서 생겼던 전투준비태세 유지 어려움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해군에서 운용 중인 노후화된 호위함과 초계함을 대체하는 2800t급 최신예 호위함(울산급 Batch-Ⅱ)도 국내 기술로 건조해 양산하기로 했다.

울산급 Batch-Ⅱ 함정은 기존 호위함과 초계함보다 대함정·대잠수함 표적에 대한 탐지·공격 능력과 대공 방어 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전·평시 한반도 해역 방어를 위한 주력함으로 운용할 계획이라고 방사청은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