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박근혜 대통령, 9월 2~3일 러시아 방문 ‘사드 외교 본격 시험대’

박근혜 대통령, 9월 2~3일 러시아 방문 ‘사드 외교 본격 시험대’

기사승인 2016. 08. 03. 21:1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사드 한반도 배치, 러시아·중국 주변 강국 강력 반발 '설득 외교' 시험대...북핵 공조 재확인...극동지역 개발, 남·북·러 실질 경제협력, 푸틴 남북정상회담 '주선'도 주목
박근혜 푸틴 정상회담 11
박근혜 대통령이 2013년 11월 한국을 찾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사진=청와대 제공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달 2∼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찾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고 청와대가 3일 밝혔다.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주한미군 배치로 중국·러시아가 강력 반발하고 있어 박 대통령에게는 본격적인 ‘사드 설득 외교’의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 대통령의 이번 방러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갈수록 노골화되고 있는 가운데 푸틴 대통령이 그동안 줄기차게 남북정상회담을 주선해 오고 있어 임기를 1년 7개월 남겨 둔 박 대통령이 남북관계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박 대통령의 이번 러시아 실무 방문은 러시아 정부가 여는 동방경제포럼(EEF) 참석을 계기로 이뤄진다. 하지만 이번 한·러 정상회담은 한반도 사드 배치를 둘러싼 주변 강국의 반발로 북핵 공조 균열과 ‘사드 보복 조치’ 우려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열린다.

주변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북핵·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단단한 협력을 이끌어 내야 하는 중요한 외교안보 행보이기도 하다.

또 러시아가 극동지역 개발을 위해 동방경제포럼을 개최하는 만큼 남·북·러 경제협력 활성화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현 등 경제적으로도 실질적 협력을 모색해야 한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3차례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지만 양자 방문 형식으로 러시아를 찾기는 취임 이후 처음이다. 이번 동방경제포럼에는 중국 시진핑 국가 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참석할 가능성이 높다.

박 대통령에게는 북핵과 북한 문제 해결, 사드 배치의 외교적 갈등을 조기에 수습해야 하는 동북아 외교안보의 중대한 시험대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다음달 4~5일에는 중국 항저우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도 예정돼 있어 동북아시아 패권 경쟁을 위한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한반도 사드 배치, 북한의 핵 문제가 ‘중국 안방’에서 첨예한 국제 외교안보 핫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종수 중원대 교수(국제통상학과·전 러시아 공사)는 3일 아시아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의 동방경제포럼 참석과 관련해 “러시아 입장에서는 경제협력 문제가 우선 과제다”면서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은 상트페테르부르크 경제포럼·소치 경제포럼과 함께 푸틴 대통령이 직접 챙기는 3대 경제포럼”이라고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교수는 “최근 일본의 대러 경제진출 강화 추세와 함께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블루오션인 북방경제의 선점권을 일본이나 중국에 빼앗겨서는 안 될 것”이라고 박 대통령의 경제외교를 강조했다.

특히 박 교수는 “극동지역의 광활하고 비옥한 농토를 활용한 영농진출은 미래의 식량에너지 확보 차원에서 시급하다”면서 “북극항로 선점도 기후 온난화로 북극해 이용 기간이 늘어남으로써 물류혁명을 눈 앞에 두고 있어 한·러 간 주요 현안 중의 하나”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북핵과 대북공조와 관련해 “러시아의 기본 입장은 한반도 비핵화다”면서 “국경 인접국으로서 북한의 핵개발이 가져올 환경재앙에 대해 러시아는 적지 않게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러시아 전 고위외교관들이 최근 ‘김정은이 7차 노동당 대회를 통해 권력을 공고하게 구축했고 핵탄두를 10~15개 정도로 최소한의 핵억지력을 확보했기 때문에 더이상의 핵개발은 국가경제의 부담요인이다. 정권안보만 보장된다면 향후 핵개발 중단을 위한 협상이 가능하고 그 대신 경제건설의 반대급부를 요구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고 전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