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文대통령, 아베 日총리와 통화…“北대화로 이끌 방안 협의해야”

文대통령, 아베 日총리와 통화…“北대화로 이끌 방안 협의해야”

기사승인 2017. 08. 07. 18:4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아베 총리 "북핵 해결 위한 최종적 대화는 당연…지금은 압력가할 때"
"韓日 정상, UN 결의 계기로 北 실질적 변화 이끌도록 긴밀히 협력"
"최대한 압박 가해 북핵 포기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데 공감"

문재인 대통령은 7일 아베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 "한·일과 한·미·일은 완전한 핵 폐기를 위한 대화의 장으로 북한을 이끌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아베 총리와 23분간 통화하면서 "북한 핵·미사일 문제는 협상을 통해 평화적·외교적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 앞으로 한·미·일 삼국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에 아베 총리는 "북한 핵·미사일 문제의 해결을 위해 최종적으로 대화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다만, 지금은 북한이 대화에 나오도록 압력을 가하는 게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한 데 대해 평가한다"고 말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오후 4시부터 4시23분까지 23분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따른 한반도의 엄중한 안보 상황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한편, 한일 양국의 대응 및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협의를 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북한의 미사일 능력이 고도화되고 북한이 연이은 미사일 도발을 함으로써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런 공동인식을 바탕으로 한·일 양국과 한·미·일 삼국이 긴밀히 협력하면서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강력히 대응하고 있는 데 대해 만족을 표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전날 UN 안전보장이사회가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전 이사국들이 참여한 가운데 만장일치로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 제재 결의안을 채택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고 덧붙였다.


박 대변인은 "양국 정상은 이번 결의가 국제사회의 협력을 바탕으로 면밀히 이행돼 북한의 실질적인 태도 변화를 이끄는 계기가 되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한·일 양국이 긴밀히 협의하면서 국제사회와 협력해 북한에 최대한의 압박과 제재를 가해 북한이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 정상은 북한이 계속 도발을 하면서 대화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북한에 대한 압박과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 지난 3일 일본의 제3차 내각이 출범한 것에 대해 축하 인사를 전했다.


이에 아베 총리는 감사의 뜻을 표하면서 "새로 임명된 고노 다로(河野太郞) 외상과 한일관계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답했다.


이어 "문 대통령의 지도력으로 한·일 간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셔틀외교의 하나로 조기에 일본을 방문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셔틀외교를 활성화하기 위해 실무적으로 상호 편리한 시기에 조율해 나가자"며 "다음 달 초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서 만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앞으로 전화통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긴밀한 협의를 계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와의 전화통화에서 한·일 위안부 재협상 관련 언급은 없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