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국형 도로안전시설 설계기준, 아시아 32개국 8개 도로에 적용

한국형 도로안전시설 설계기준, 아시아 32개국 8개 도로에 적용

기사승인 2018. 01. 08. 16:1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clip20180108161321
아시안하이웨이 도로안전 규정 제정의 주역들 (왼쪽부터 박선용 국토부 사무관, 조성민 한국도로공사 실장, 이상헌 국토부 과장, 샤르띠에 UNESCAP 과장, 아메드 담당관./제공=국토교통부
우리나라가 주도해서 만든 도로안전시설 설계기준이 아시안하이웨이(AH·Asian Highway) 표준이 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지난달 15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7차 아시안하이웨이 당사국 실무그룹 회의에서 우리 정부가 제안한 ‘AH 도로안전시설 설계기준’이 유엔의 새로운 국제규정으로 채택됐다고 8일 밝혔다.

새 기준이 채택됨에 따라 앞으로 교차로, 방호 울타리, 터널 안전시설 등 45개 항목에 대한 설계기준이 마련될 전망이다.

국토부와 도로공사는 2015년부터 3년 동안 AH1(경부고속도로)·AH6(국도7호선·동해고속도로) 노선을 지나는 중국, 러시아, 인도, 터키 등 8개국과 표준 제정을 위해 협력해 이번 기준을 만들었다.

한국의 도로안전시설 기준을 바탕으로 각국 의견을 수렴해 만든 이번 기준은 지난해 9월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 ESCAP)에 제출됐고, 지난달 7차 회의에서 27개국 정부 대표와 전문기관의 만장일치로 채택됐다.

설계기준 개정안은 유엔 사무총장에게 보내진 뒤 AH 회원국의 회람(1년간)을 거쳐 3분의 2 이상이 동의하면 1년 뒤 발효된다.

AH는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 ESCAP)가 아시아 국가 간 물적·인적교류 확대를 기대하며 추진 중이며, 아시아 32개 국가를 연결(55개 노선 14만4630㎞)하는 고속도로망으로 AH1∼AH8까지 8개 노선으로 이뤄졌다. .

한국에는 주선으로 AH1호선과 AH6호선 등 2개 노선, 북한에는 AH1호, AH6호, AH32호 등 3개 노선이 지난다.

2005년 26개 회원국 서명으로 국가 간 협정이 발효됐고, 북한도 2012년 가입했다. 그러나 북한은 2013년 5차 회의에 참석한 후 2015년 6차, 지난해 7차 회의에 불참했다.

북한은 개성∼평양∼안주∼신의주를 통과하는 AH1 노선과 AH6 노선을 기간망으로 인식하고 인프라 개선 의지가 강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때문에 남북관계가 회복되면 새로운 AH 도로 설계기준에 따라 남북 간 도로정비 사업 등이 재개될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아시아 지역은 도로안전 관련 기술기준을 갖추지 못한 나라가 많아 세계 도로 교통사고 사망자의 58%가 발생하는 지역”이라면서 “새 설계기준 채택으로 AH 도로가 안전하게 표준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새 도로안전시설 설계기준 채택으로 우리나라 도로안전기술의 위상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