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미 금리격차 0.5%포인트로 확대…고민 깊은 한국은행

한·미 금리격차 0.5%포인트로 확대…고민 깊은 한국은행

기사승인 2018. 06. 15.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13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또 올리면서 우리나라와의 정책금리 격차가 더 벌어진 가운데 시장의 관심은 한국은행에 쏠린다. 미국은 금리를 1.75~2.0%로 0.25%포인트 올리며 국내 현행 기준금리 1.50%와의 격차가 0.5%포인트로 확대되자 통화정책을 담당하는 한은은 “국내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일축하면서도 고민이 더 깊어지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이르면 7~8월, 늦어도 10월엔 한은이 금리를 올릴 것으로 내다본다. 한은이 금리를 결정하는 회의인 금융통화위원회가 하반기 네 차례(7, 8, 10, 11월)밖에 남지 않은 데다가 이날 공개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의 금리인상 전망 스케줄을 보여주는 점도표를 보면 연내 두 차례 추가 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확실시 되면서다. 이 상황에서 한은이 현행 수준의 금리를 고집한다면 금리역전 폭은 1.0%포인트까지 확대돼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자본유출을 비롯한 금융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한은이 곧바로 금리인상을 단행하기엔 경기침체·가계부채·저물가 흐름 등 국내 금융시장의 여건이 따라주지 않고 있어 발목을 잡는다.

1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대비 5.9원 뛴 1083.1원에 거래를 마쳤다. 그간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는 금리인상기에 접어들며 꾸준히 강세를 보였음에도 국내 원화가치가 북한 리스크 해소로 덩달아 강세를 보이며 환율 상승세가 제한돼 1070원대 등락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미국이 지난 3월에 이어 이번에 또 금리인상을 단행하자 환율은 급등한 모습이다. 이날 주식시장 역시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것이란 우려에 외국인들의 매도세가 이어지며 약세를 보였다.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45.35포인트(1.84%) 내린 2423.48에, 코스닥지수도 전장보다 10.48포인트(1.20%) 내린 864.56에 장을 마쳤다.

시장엔 불안심리가 즉각 반영됐지만 이주열 한은 총재는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는 아니었기에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봤다. 이 총재는 이날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금융시장이 호키시(매파적·통화긴축선호)하게 받아들이고 있지만, 전혀 예상 못 한 결과는 아니었다”며 “국내금융시장에 대한 영향도 우려할 만큼 그렇게 큰 영향을 주진 않았기에 제한적인 영향에 그치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했다.

미국이 정책금리를 9월과 12월에도 올릴 것으로 확실시되자 시장의 관심은 국내 금리인상 시기로 집중된다. 당장 예정된 일정으로는 한은이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결정과 경제전망을 함께 발표하는 7월12일이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 스케줄이 빨라진 만큼 한·미 기준금리 격차 확대에 대한 우려가 추가로 확대되면서 7월 인상 기대감이 확대될 수 있는 시기”라며 “더군다나 지난 12일 장 종료 후 발표된 5월 금통위 의사록이 오늘 이 총재의 발언에 비해 다소 매파적으로 발표됐기에 7월 소수의견 가능성이 다시 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5월 의사록을 보면 금통위원 2명이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한 탓이다. 김유겸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도 “한·미 금리격차 확대에 의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은 이르면 7월 늦어도 10월께 가시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렇다고 한은이 곧장 금리인상을 단행하긴 어렵다. 국내 각종 경제지표가 한은의 금리인상 카드에 힘을 보태고 있진 않기 때문이다. 올 들어 가계부채 증가율이 정부의 목표치인 8.2%를 하회하곤 있으나 1500조원 돌파를 앞둔 절대적인 규모는 위협적이다. 취약차주들을 중심으로 이자 등 대출상환 부담이 가중돼 가계부채가 부실화될 우려는 여전하기 때문이다. 경기 회복세에 금리인상으로 자칫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저물가 기조 역시 한은의 운신 폭을 좁힌다.

또 정부는 신흥국 금융불안을 변수로 꼽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제2의 긴축발작(테이퍼 탠트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이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며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등 신흥국의 금융불안이 퍼질 가능성을 언급, 금리인상 여파가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경우를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 총재는 국내 통화정책 기조에 대해 “상황이란 게 자꾸 가변적이어서 금통위원들 모두가 고민하고 있으며, 어떻게 금리정책을 끌고 갈 지 협의를 해야 한다”며 말을 아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