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청년 1인가구 1년來 10.7%↑…1인 가구 560만 돌파

청년 1인가구 1년來 10.7%↑…1인 가구 560만 돌파

기사승인 2018. 06. 21. 12:5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0대 후반이 증가세 견인, 만혼·혁신도시 이전 등 영향
1인가구 임시·일용직 비율, 평균보다 8%포인트 높아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 취업자 1인 가구의 임시·일용직 비율은 하락하고 있지만, 전체 취업자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561만3000가구로 1년 전보다 17만9000가구(3.3%) 늘었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보다 더 빠른 속도로 늘면서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8.1%에서 28.7%로 상승했다.취업자인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중장년층인 50∼64세가 26.5%에 달해 가장 많았다. 30∼39세(23.7%), 40∼49세(21.0%), 15∼29세(18.8%), 65세 이상(10.1%) 등이 뒤를 이었다.

교육별로 보면 대졸 이상 취업자 1인 가구가 148만6000가구(43.3%)로 가장 많았다. 최근에는 나이가 어리고 교육 정도가 높은 청년층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년과 비교하면 15∼29세 1인 가구가 6만2000가구(10.7%) 늘어 전체 연령대 중 증가폭이 가장 컸다. 취업자 청년층 1인 가구는 지난해 주로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면서 2016년 증가율(4.1%)의 두 배를 넘어섰다.

15∼29세 1인 가구가 전체 취업자 1인 가구서 차지하는 비중도 17.7%에서 18.8%로 1.1%포인트 상승했다. 대졸 이상 취업자 1인 가구도 같은 기간 9만1000가구(6.5%)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청년층 1인 가구 증가세는 최근 청년들의 결혼 기피 현상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취업으로 인해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 혼자 살림을 꾸리는 청년들이 늘어난 영향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별로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124만8000가구(3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도소매·숙박음식점업(73만3000가구·21.4%), 광·제조업(56만2000가구·16.4%) 순으로 나타났다.

광·제조업, 건설업 등에서 비중이 늘었지만 농림어업,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은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시·일용직이 88만1000 가구로 전년(86만2000 가구)보다 1만9000 가구 늘었다. 전체 비중은 33.7%에서 32.8%로 하락했지만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임시·일용직 비율(24.3%)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1인 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2.8시간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다. 전체 취업자 취업시간(43.3시간)보다는 0.5시간 적었다.

임금 수준별로 보면 200만∼300만원 미만이 33.3%로 가장 많았다. 100만∼200만원 미만(29.2%), 300만∼400만원 미만(16.3%), 100만원 미만(11.0%), 400만원 이상(10.1%) 등 순이었다. 100만원 미만 업종은 주로 농림어업(48.6%)에서 많았다. 100만∼200만원 미만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40.7%),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1.0%) 등에 다수 분포한 것으로 나왔다. 단순노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중 임금이 100만∼200만원인 노동자 비중은 각각 45.3%, 44.6%, 39.4%로 높게 나타났다.
캡처
한 커피매장에 손님들이 1인용 테이블에 앉아 있다. 자료사진/ 연합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