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정부 뒷받침 없인 청정수소 전환 현실적 한계”

“정부 뒷받침 없인 청정수소 전환 현실적 한계”

기사승인 2024. 03. 06. 19:0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산업기술진흥원, 연구보고서 발표
생산 비용저감·산업환경 구축 시급
민병주 KIAT 원장
민병주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원장
탄소중립 등 청정수소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청정수소 전환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석탄·원자력 등 다른 에너지원보다 우위를 선점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등이 속행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6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이같은 의견이 담긴 연구보고서 '수소의 현실적 한계와 대응 정책 고찰'을 냈다. 이 보고서에서 진흥원은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이 분석한 수소 현황과 정책 방향 등을 차용했다. 청정수소는 그레이수소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저히 낮아 '그린수소'로도 불린다. 철강·시멘트·항공·해운 등 여러 부문의 탈탄소화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실제 생산·수송·시장 측면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정부는 2019년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고, 올해 청정수소 발전 입찰시장 개시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레이수소에 기반한 산업 발전이 주를 이루고 있다.

청정수소는 생산비용과 가격 경쟁력이 저조한 상황이다. 또한 청정수소 파이프라인과 트럭·선박을 이용한 수송 방식은 가격 및 인프라 설치, 물리적 특성에 따른 추가 설비가 필요하다. 신규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경우 인허가와 규모 제약 문제가 있고, 트럭 운송 시에도 고가의 시설 구축 필요성 및 운송 비용 부담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미국 내 육상 파이프라인을 신축할 경우 ㎞당 220만~450만 달러, 해상 파이프라인은 ㎞당 450만~710만 달러 비용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진흥원은 청정수소 전환 및 비용 저감 방안에 대한 세밀한 설계와 기술 개발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아직 그레이수소에 기반한 산업 발전이 주를 이루는 실정"이라며 "그린수소 생산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그린 에너지 투입 비용 저감 방안을 세밀하게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또한 정부의 보조금 지원 없이도 자립할 수 있는 산업 환경 구축·양성이 중요"하다며 "장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서 그린수소 기술 개발·상용화를 위한 정부와 업계의 적극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