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취재뒷담화] 금융권에 널리 퍼진 관치금융

[취재뒷담화] 금융권에 널리 퍼진 관치금융

기사승인 2014. 12. 03. 07:5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아름
정아름 경제부 기자
이광구 우리은행 부행장이 차기 우리은행장으로 사실상 내정됐다는 소문이 파다하면서 관치금융 문제가 다시 고개를 들고있습니다. 관치금융 문제는 세월호사건 때 관피아의 여파로 금융권 낙하산 취업이 금지되면서 사그라드는 듯 했지만 또다시 수면위로 떠올랐습니다. 이 부행장은 2일 우리은행 행장후보추천위원회에서 행장 후보 3명에 뽑혔습니다.

관치논란의 핵심은 이 부행장이 박근혜 대통령이 나온 서강대 출신 금융인 모임인 서금회 멤버기 때문입니다.

하영구 신임 은행연합회장은 관료출신도 학맥이 연결된 것도 아니지만 금융당국과 관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 회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달러 자금을 조달해 정부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한국씨티은행은 지난 2008년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 1조300억원 상당의 달러를 한국으로 들여와 출렁이던 국내 외환시장을 안정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당시 하 회장은 씨티은행장에 재직하고 있었습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공교롭게도 당시 기획재정부 차관보였습니다.

하 회장은 회장추천위원회가 열리기도 전에 이미 내정설이 돌았던 인물입니다. 하 회장은 앞서 KB금융지주 회장 후보에 최후의 2인으로 오르기도 했습니다.

두 사람의 인사에서 보듯 최근 금융권 인사들을 살펴보면 대놓고 관료출신 낙하산은 아니지만 어떻게든 정부와 연이 닿아있는 인사들이 수장을 맡거나 맡으려 하고 있습니다. 신관치금융 문제가 제기되는 이유입니다.

이처럼 관치금융의 그림자가 다시 드리워지는 까닭에는 정부가 추진하는 시책과도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정부가 금융사의 보신주의를 타파하고 대대적으로 기술금융을 지원하겠다고 나서면서 관과 연결된 사람이 금융권 수장이 되는 것이 실적을 내는 데 용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 회장은 1일 취임사에서 “금융사들이 지나친 보신주의로 인해 실물경기회복에 필요한 순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질책을 받고있어 안타깝다”고 말했습니다.

이같은 발언은 박 대통령이 금융보신주의를 질타한 것과 궤를 같이합니다.

하지만 관치금융은 정부의 금융정책에 도움을 줄 수는 있겠지만 금융사의 자체적인 발전을 막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하겠습니다.

각종 관치인사가 개입돼 말썽을 일으켰던 KB사태가 끝난 지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았습니다. KB사태에서 보듯 관치금융은 결국 금융사를 갉아먹는다는 점을 반면교사 삼아야 할 것입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