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설] 면세점 정책, 숫자에 연연하지 말고 국제적 흐름 읽어야

[사설] 면세점 정책, 숫자에 연연하지 말고 국제적 흐름 읽어야

기사승인 2016. 05. 01. 17:2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서울시내에 면세점 4곳이 추가로 생긴다. 지난해 사업권을 잃고 애를 태우던 롯데 월드타워점과 SK 워커힐 면세점이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아주 커졌다. 하지만 지난해 5곳의 사업권을 내준 후 얼마 되지 않아 또 새로운 사업자를 선정하게 돼 경쟁이 그만큼 치열해질 전망이다. 면세점 사업이 이제 문만 열면 떼돈을 버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아니라 '평범한 사업'으로 남을 수도 있다는 소리도 많이 나오고 있다.

 관세청은 지난달 29일 서울에 4곳의 면세점을 추가 설치한다고 발표했다. 한류의 영향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이들에게 쇼핑할 수 있는 멍석을 깔아주기 위해서다. 지난해 7월에는 한화갤러리아, HDC신라면세점, 두산, 신세계, 에스엠면세점에 사업권을 주었다. 이번에 정부는 크루즈 해양관광이 많은 부산, 동계스포츠로 각광받는 강원도에도 면세점을 추가로 허가한다. 이럴 경우 국내의 시내 면세점은 모두 27개가 된다. 출국장 면세점은 22곳이다.

 신규 면세점은 4개월에 걸친 특허 공고 절차와 2개월 간 심사를 거쳐 올해 말 선정된다. 정부의 방침에 대해 롯데와 SK는 크게 환영하고 있다. 잃었던 사업권을 사시 찾을 수 있는 기회가 왔기 때문이다. 현대백화점도 도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난해 사업권을 따낸 기업들은 떨떠름한 표정이다. 겨우 면세점 문만 열어 놓은 상태인데 공룡 같은 사업자가 다시 출현하면 영업에 막대한 지장을 받을 게 뻔하기 때문이다.

 이제 면세점 '사업권=돈'이라는 공식은 깨졌다. 2015년 19개 시내면세점의 매출은 모두 6조원을 조금 넘었다. 한 곳당 평균 3000억 원 정도다. 이 정도는 사업성이 큰 게 아니다. 목숨을 걸 일도 아니다. 따라서 굳이 면세점 사업자를 제한할 필요가 없게 됐다. 문호를 활짝 개방해야 한다. 면세점 사업을 신고제로 바꿔 일정 자격을 갖추면 누구든지 사업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심사를 거친다고 하지만 특정 업체에 사업권을 주다 보니 특혜시비가 늘 있게 마련인데 이런 빌미도 없애야 한다.

 면세점 사업은 외국인 관광객 수와 일본 중국 등 주변국의 정책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따라서 흐름을 읽어야 한다. 

 중국이 주요 공항에 입국장 면세점을 세워 자국 관광객이 입국하면서 물건을 사도록 유도하고 있는데 우리 면세점 업계는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면세품 구입의 패턴이 바뀔 수 있어서 하는 얘기다. 또 일본이 소형 전문 면세점을 2만개에서 3만개로 늘리는 이유도 잘 살펴야 한다. 이런 흐름과 동떨어진 우리의 면세점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