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중단 한일, 중국의 아프간 영향권 확대 주시"
"중국, 탈레반 신속 인정...아프간, 중앙아시아 중요 전략적 동맹국 가능성"
|
DW는 이같이 전하고 미국과 다른 국가들이 아프간에서 개발 인력 및 지원을 철회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지역 경쟁국인 한·일은 중국이 새로운 탈레반 정권과 유대를 구축함으로써 영향권을 확대할 수 있는지 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방송은 한국과 일본 정부는 아프간에 군대를 파견하지 않았지만 인프라 개발 원조의 중요한 제공국이었다며 전문가들은 여성에 대한 태도와 소녀들에 대한 교육 기회 등 탈레반 정권의 정책과 계획들이 명확해질 때까지 한·일의 원조가 중단될 것이라고 말한다고 전했다.
한국 정부는 아프간에 전투부대를 보내지는 않았지만 육군 의료지원단 동의부대·공병지원단 다산부대(2003~2007년), 오쉬노(친구)부대로 불린 지방재건팀(PRT·2010~2014년) 등을 파병했고, 미군 바그람기지 내에서 병원(2008~2015년)을 운영했다.
스티븐 나기 일본 국제기독교대학 교수는 한·일은 지원과 원조 재개 결정을 내리기 전에 향후 6개월 동안 탈레반이 아프간에 법을 어떻게 시행하는지 기다리며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나기 교수는 한국의 원조가 대부분 기독교 교회와 산하기관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일본보다 상황은 더 복잡하다며 탈레반이 어떤 종류의 규칙을 시행할지 명확하지 않으므로 지금은 ‘기다리는 게임’이라고 진단했다.
나기 교수는 이어 탈레반이 코란을 엄격하게 적용해 소녀에 대한 교육을 거부하고, 여성의 자유를 제한하면 한·일은 아프간을 떠나 다른 곳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
220만달러를 기부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2001년부터 아프간 전역의 인프라 재건에 약 68억달러를 제공했고, 올해부터 2024년까지 7억2000만달러를 추가 지원하기로 했지만 동결될 가능성이 크다.
DW는 한·일은 탈레반이 아프간 정부를 전복한 것을 사실상 수용한 중국 정부의 행동을 주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정부 관리는 16일 중국이 탈레반과의 접촉과 소통을 유지하고, 아프간의 평화와 재건에 건설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탈레반이 아프간에 항구적인 평화를 가져오는 데 도움이 되는 정치 체제를 구축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DW는 전했다.
그러면서 DW는 큰 질문은 중국이 막대한 대외 원조를 제공함으로써 영향권을 계속 확대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라며 대외 원조 수령국은 중국의 기부금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인도양으로 가는 출구를 모색하면서 이미 파키스탄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76km에 걸쳐 국경을 접하고 있는 아프간은 중앙아시아에서 또 다른 중요한 전략적 동맹국이 될 수 있다고 DW는 분석했다.
미국 템플대 도쿄(東京)캠프스의 무라카미 유미(村上裕米) 교수는 중국이 탈레반의 정권 장악과 국제적 관여의 잠재적 공백을 이용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며 “탈레반 정부를 그렇게 빨리 인정한 것은 중국 측의 대담한 조치였으며 더 광범위한 국제사회는 도전으로 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최근 몇년 동안 정치·군사, 그리고 원조 프로그램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전역에서 공격적으로 입지를 확보했으며 아프간에서도 같은 전술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