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서울 아파트값 0.09%↑…18주 연속 상승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50508010004010

글자크기

닫기

홍선미 기자

승인 : 2015. 05. 09. 05:00

clip20150508173302
제공=부동산114
봄 이사수요 감소로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폭이 다소 둔화됐다. 전세가격역시 수요가 줄면서 지난주보다 상승폭은 둔화됐지만 전세가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인 상승세가 이어졌다.

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 0.09% △신도시 0.02% △경기·인천 0.04% 모두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보합세 없이 18주 연속 오름세가 계속됐다.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27주 연속 상승)에 이어 두 번째로 긴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세가격도 수요가 줄면서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둔화됐다. △서울 0.22% △신도시 0.02% △경기·인천 0.08% 모두 상승했다. 전세를 찾는 수요가 줄긴 했지만 전세 물건이 부족한 곳이나, 주거환경이 좋은 대규모 단지를 중심으로 수요가 이어지면서 국지적인 상승세를 이어갔다.

◇ 매매

서울은 일반아파트에 실수요가 이어지면서 중소형 면적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재건축 아파트도 매수세가 활발하지 않지만 시장에 출시된 매물이 많지 않아 강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는 △성동 (0.18%) △송파 (0.17%) △중 (0.17%) △광진 (0.15%) △성북 (0.14%) △강남 (0.13%) △마포 (0.13%) △강동 (0.11%) △도봉 (0.09%) △서초 (0.09%) 순으로 상승했다.

성동구는 최근 가격 상승 이후 거래가 주춤해졌으나 일부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올랐다. 성수동2가 현대IPARK와 금호동 서울숲푸르지오가 1000만~4000만원 뛰었다. 송파구는 잠실동 대단지와 송파동 일대 전세매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매매전환 수요가 이어졌다. 잠실동 잠실엘스, 방이동 올림픽선수촌, 가락동 쌍용1차 등이 500만~5000만원 올랐다. 중구는 중소형 면적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매매로 돌아서면서 신당동 남산타운, 남산정은sky빌 등이 500만~2500만원 올랐다.

신도시는 저가매물, 중소형 면적에 수요가 꾸준했다. 지역별로는 △김포한강 (0.10%) △평촌 (0.07%) △분당 (0.03%) △동탄 (0.03%) △광교 (0.01%) 등이 올랐다.

김포한강은 중소형 면적, 저가 매물 중심으로 수요 문의가 이어지면서 마산동 은여울마을경남아너스빌, 구래동 한가람마을우미린 등이 250만~500만원 상승했다. 평촌은 매매, 전세 모두 저렴한 매물 중심으로 거래되고 있는 분위기이다. 비산동 관악청구, 은하수한양, 은하수신성 등이 250만~500만원 올랐다. 분당 역시 실수요가 저가 중소형 면적에 관심이 이어지면서 정자동 정든동아와 정든우성, 구미동 무지개건영3단지 등이 250만~1000만원 뛰었다.

경기·인천은 서울과 인접한 지역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의왕 (0.16%) △광명 (0.12%) △고양 (0.10%) △김포 (0.10%) △하남 (0.09%) △부천 (0.08%) 남양주 (0.05%) △안산 (0.05%) △인천 (0.04%) △안양 (0.04%) 순으로 상승했다.

의왕시는 비교적 주거환경이 좋은 대규모 단지에 수요가 이어지면서 내손동 포일자이, 내손대림e편한세상 등이 250만~750만원 상승했다. 광명시는 구로 및 가산 디지털단지 수요가 꾸준해 하안동 e편한세상센트레빌, 철산동 두산위브, 소하동 광명역세권휴먼시아4단지 등이 150만~1000만원 올랐다. 고양시는 행신동, 고양동 등 비교적 서울과 가깝고 가격이 저렴한 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 행신동 햇빛주공23단지, 소만삼신, 고양동 푸른마을10단지 등이 250만~1000만원 올랐다.

◇ 전세

서울은 △도봉 (0.58%) △중 (0.54%) △송파 (0.53%) △금천 (0.42%) △성동 (0.36%) △강동 (0.31%) △마포 (0.29%) △노원 (0.25%) △양천 (0.21%) △용산 (0.21%) 순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했다.

전세 물건이 부족한 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 도봉구는 교통 여건이 좋고 전셋값이 저렴한 단지 중심으로 올랐는데, 창동 동아청솔과 주공3단지, 도봉동 동아에코빌 등이 500만~2500만원 뛰었다. 중구는 전세 매물 부족한 단지를 중심으로 올랐다. 신당동 남산타운, 남산정은sky빌 등이 1000만~2000만원 상승했다. 송파구는 매매시장과 같이 잠실동과 방이동 대단지에서 전세매물이 귀해 올랐다. 잠실동 레이크팰리스와 잠실엘스, 방이동 올림픽선수촌 등이 500만~5000만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김포한강 (0.06%) △평촌 (0.06%) △일산 (0.06%) △산본 (0.04%) △분당 (0.02%) 등이 올랐다.

신도시 역시 3~4월에 비해 수요가 많지는 않았으나 전세 물건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설명이다. 김포한강은 새아파트 수요가 이어지면서 마산동 은여울마을경남아너스빌 등이 500만원 올랐다. 평촌은 전세 매물이 부족해 비산동 관악청구, 평촌동 향촌롯데, 호계동 무궁화경남 등이 250만~500만원 상승했다.

일산도 전세수요는 다소 줄었으나 여전히 전세 물건이 부족한 편이다. 주엽동 문촌17단지신안, 대화동 성저3단지풍림, 일산동 후곡17단지태영 등이 250만~500만원 상승했다. 반면 동탄은 동탄2신도시 입주 영향으로 금주 0.07%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고양 (0.20%) △의왕 (0.18%) △군포 (0.14%) △김포 (0.13%) △남양주 (0.12%) △시흥 (0.11%) △광명 (0.10%) △의정부 (0.10%) △인천 (0.08%) 순으로 상승했다.

경기·인천도 수요 대비 전세 매물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고양시는 전세 매물이 부족한 행신동, 가좌동 중심으로 올랐다. 가좌동 양우내안愛, 가좌마을3단지청원벽산을 비롯해 행신동 소만삼신, 햇빛주공23단지 등이 400만~1500만원 상승했다. 의왕시는 주거환경이 비교적 양호한 대단지로 몰리면서 내손동 포일자이, 내손대림e편한세상 등이 500만~1000만원 올랐다. 군포시도 대단지에 수요가 이어지면서 산본동 래미안하이어스 등이 500만원 가량 상승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5월 들어서면서 수도권 아파트 매매, 전세시장은 분위기가 다소 주춤해지는 상황이다”면서 “서울 아파트 값이 1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조금 있으면 부동산 시장도 비수기로 접어든다. 시장 분위기를 바꿀 촉매제가 없다면 거래량이나 가격 상승 모두 둔화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홍선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