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21~24일 러시아 국빈 방문
|
18일 북방경제위는 동해안에서 유라시아 대륙까지 철도를 연결하고 남·북·러 가스관 연결을 위한 한·러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송영길 위원장과 기획재정부·외교부·통일부·산업자원부 등 정부기관과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유관기관이 총출동해 신북방정책의 전략과 중점 과제를 논의했다.
특히 지난해 9월 문 대통령이 동방경제포럼(EEF)에서 신북방정책을 천명할 당시 ‘빈 칸’으로 남아 있던 북한의 모습이 조금씩 또렷해진 것도 북방경제위에 힘을 실었다. 북방경제위는 철도와 가스관 연결 뿐만 아니라 △유라시아 복합물류망 구축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 △북극항로 진출로 해운·조선 신시장 개척 △북방진출 기업의 금융접근성 강화 등 14대 중점 추진 과제를 확정했다.
송 위원장은 회의에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12월 1차 북방경제위 이후 많은 것이 변했다”며 “그간 한반도 정세로 추진할 수 없었던 프로젝트들을 러시아 등 북방경제권 국가들과 추진할 수 있는 상황이 조성됐다”고 했다. 송 위원장은 특히 “최근 한반도를 둘러 싼 역동적인 환경 변화는 북방경제협력에 모멘텀을 제공하면서 협력의 체감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태호 청와대 통상비서관도 “특히 북한의 비핵화 진전으로 대북제재가 완화될 경우 물류·에너지·특구 개발 등 남북한과 러시아, 중국 등 주변국이 참여하는 초국경 협력 사업이 가능해져 대륙과의 연결성 강화를 통해 북방경제 협력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는 21~24일로 예정된 문 대통령의 러시아 국빈 방문도 신북방정책에 힘을 싣는다.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으로 여건이 조성돼 남·북·러 3각 협력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기반이 놓여 있다”고 평가했다. 김 보좌관은 “지난해 동방경제포럼에서 ‘나인-브릿지’ 영역에 대한 합의가 개시됐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구체적 행동 계획과 디테일한 협력 부분이 확인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의 신북방정책 핵심인 나인-브릿지 전략은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가스 △철도 △항만 △전력 △북극항로 △조선 △일자리 △농업 △수산분야 등 9개의 다리를 놓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