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2일까지 비금융업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일본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제외 등 수출규제 영향에 대해 설문,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9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일본의 수출규제가 경영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은 51.6%을 기록했으며, 영향 없음은 48.4%였다. 또 기업들은 이로 인해 매출액이 2.8%, 영업이익이 1.9%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업종별 매출액 감소율 전망치는 일반기계(13.6%)가 가장 높았으며 이어 석유제품(7.0%), 반도체(6.6%)가 뒤따랐다.
이 가운데 일본 수출규제로 매출에 악영향이 있다는 기업만 별도 집계하면 예상 매출액 감소율이 5.7%로 커졌다. 이는 영향 없음(47.7%)과 긍정적 영향(2.0%)을 제외한 수치다. 업종별 영업이익 감소율 전망치는 일반기계(7.9%), 석유제품(5.4%), 반도체(5.1%), 디스플레이(2.4%), 철강제품(1.9%) 순이었다.
일본 수출규제가 악영향을 준다는 기업만 추산하면 영업이익 감소율은 3.7%였다. 이는 영향 없음(50.2%)과 긍정적 영향(0.7%)을 제외한 수치다.
|
기업들은 단기 대응으로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53.7%), 대체 부품소재 물색(15.9%), 일시적 사업축소·긴축경영(8.5%),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8.0%)을 언급했다. 장기적으로도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28.8%)가 가장 많았다. 이어 부품소재 국산화(25.0%), 대체 부품소재 확보(14.4%),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11.5%), 사업축소·긴축경영(4.8%), 생산설비 해외 이전(1.4%), 인수합병을 통한 부품소재 확보(0.5%)가 뒤따랐다.
정부 정책지원 과제로 대체 수입선 확보 지원(30.9%), 부품소재 국산화 재정지원(23.9%), 피해업종 세제 혜택(23.0%), 화학물질·부품소재 규제 완화(16.6%)가 주로 꼽혔다.
한일 경제갈등 해결 방안으로는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40.5%)이 가장 많았으며,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21.9%), 미국의 한일 간 중재(14.3%), 국제적 여론 형성(11.1%), 민간기업·경제단체 활용(6.2%), 기업자체 역량에 의한 해결(5.1%) 등이었다.
이번 조사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진행했으며, 전체 898개사 중 153개사가 응답해 17.0%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대응 방안 등은 주어진 문항에서 1순위와 2순위를 고르는 방식으로 조사됐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