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26일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긴급 대책회의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관계기관 대응체계 강화와 정보공유, 효울적 대응을 위한 협조와 지원사항 등을 논의했다.
박 시장은 회의에서 “오늘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세번째 확진자가 발생했다”며 “감염병은 선제대응이 중요하다. 일단 뚫려서 확산되면 손쓰기가 어렵다. 중국이 초동대응에 실패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시장은 “어제 하루 중국에서 688명의 확진자가 발생했고 15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그런 상황”이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세 번째 확진자가 나왔고 계속될 확률이 충분히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서울시는 20일부터 방역대책반을 만들어서 24시간 대응체계를 유지하고 있고 특히 설 연휴 기간에도 상황실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며 “서울시 확진자는 1명에 불과하지만 심각성을 고려해보면 훨씬 더 선제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늘 감염병은 선제대응이 참으로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늑장대응보다는 과잉대응이 좋다. 특히 중국 상황을 정확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면밀히 모니터링해서 체크하고 접촉이 빈번한 공공장소에서의 불안이 크다”며 “화상감시카메라를 설치하면 주의단계이긴 하지만 훨씬 더 안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중국 정부가 그룹관광을 금지했지만 여전히 개별관광객이 서울과 대한민국에 지속적으로 들어오고 있다. 특히 개별관광이 70% 이상이 넘는 상태다. 개별관광객들을 통제하기 어렵다”며 “그만큼 대중들의 접촉범위가 많을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계심과 감수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 시장은 “서울시로서도 소독할 수 있는 소독기를 공공장소 곳곳에 배치한다든지 이런 게 필요하고, 무엇보다도 증상이 발생하면 우리 시민들이 곧바로 접촉을 자제하고 보건소에 신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보건소에도 이미 따로 선별진료소를 만들어 놨기 때문에 거기에 오셔서 진료를 받고 상담을 받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서울시는 지난 24일 총리주재 대책회의에서 호흡기 증상사례의 정의를 기침과 발열에 국한하지 말고 인후통, 가래까지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중국 후베이성까지 대상범위를 확대하고 접촉자들을 자가격리 해야한다고도 요청을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