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바람길 조성 통해 국토·환경 계획 효과 극대화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00302010001104

글자크기

닫기

이철현 기자

승인 : 2020. 03. 02. 16:06

성선용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바람길 도입 위한 연계방안 연구' 통해 밝혀
바람길을 조성해 미세먼지 발생원과 거주지 간의 이격, 건축물 높이·배치 연계로 국토·환경 계획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성선용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일 ‘바람길 도입을 위한 국토·환경 계획 법·제도 연계방안’ 연구에서 “배출원 중심이 아닌 공간 중심 미세먼지 대책이 필요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성 연구원은 “공간 중심적 해법은 국토·환경 계획의 연계를 통해 마련해야 한다”며 “그러나 현재의 법·제도에서는 두 계획의 이원화로 연동이 미비한 실정으로 향후 국토·환경 계획수립 시 연계를 통해 공통되는 지역을 바람길로 설정하고 계획단계에서 상호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 개정을 통해 시행단계에서 건축물의 배치와 높이, 도로의 방향, 가로수의 배치·높이·종류 선정에서도 바람길 확보를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도 드러냈다.

성 연구원은 “바람길 미확보시 바람길과 수직방향으로 판상형 건물 배치 시 건물이 병풍역할로 신선한 공기 유입과 미세먼지 분산이 어렵다”며 “바람길이 확보되면 건물 수평 배치시 신선한 공기의 유입과 미세먼지 분산이 원활해지며 바람길 확보가 가능한 타워형 건물 배치를 통해 미세먼지 분산이 촉진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위한 정책방안으로 △국토·환경 계획수립 시 동일한 지역을 바람길로 설정 △조사·작성·평가·시행 단계에서 상호 계획 반영 △바람길 구축을 위한 도시·건축의 형태 등을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에 반영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 목표로 향후 바람길 정량적 효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시범도시 구축 추진 등을 제시했다.

이철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