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신형식, 서울대학교병원 박혜윤·박완범, 서울의료원 이해우, 단국대학교병원 이정재, 충남대학교병원 김정란 연구팀이 2015년 메르스 당시 생존자 148명 중 63명의 정신건강 문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BMC 공공의료’(BMC Public Health) 최신호에 게재됐다.
1일 연구팀에 따르면 메르스에서 완치한 생존자 63명 중 34명(54%)은 1년 후에도 한 가지 이상의 정신건강 문제에 시달렸다. 생존자의 42.9%는 외상후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했고, 27.0%는 우울증이 있었다. 적지 않은 자살 충동을 보이는 중등도 이상의 자살사고를 지닌 생존자는 22.2%, 불면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28%였다.
|
메르스 감염의 심각도는 완치 후 정신건강 문제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연구팀은 감염의 심각도보다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이 질환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지하는지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소희 국립의료원 박사는 “코로나19로 환자와 격리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이라며 “이번 연구는 환자의 정신건강 문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박혜윤 서울대병원 교수는 “감염자에 대한 낙인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감염증 사태에서 사별이나 불안 등의 어려움이 있는 환자를 적극적으로 지지해야 정신적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