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사-북한군간 판문점 직통전화는 정상 가동
|
이날 새벽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6월 9일 12시부터 북남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북남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북남 군부 사이의 동서해통신연락선, 북남통신시험연락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통신연락선을 완전 차단·폐기하게 된다”고 보도한 데 따른 것이다.
국방부는 이날 오전 9시와 오후 4시 두 차례에 걸쳐 군 통신선을 통한 통화를 시도했지만 북한이 응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국방부는 양측 함정 간 국제상선공통망(핫라인) 통화에도 응답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남북 군 당국은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이용해 전날까지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4시 등 두차례 정기적인 통화를 해왔다.
2018년 군 통신선과 함정간 핫라인 복구 이후 정기적인 전화에 북측이 응답하지 않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은 4·27 판문점 선언과 이어진 남북장성급군사회담을 통해 합의돼 서해지구는 2016년 2월 개성공단 가동 중단과 함께 단절된 후 2년여만인 2018년 7월에, 동해지구는 2010년 11월 산불로 완전히 소실된 이후 8년여만인 같은 해 8월 복구됐다.
북한이 일방적으로 남북 군 당국간 통신채널을 차단함에 따라 향후 남북간 군사적 긴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남북 당국 간 모든 통신 연락 수단이 중단된 상황에서도 이날 판문점에 설치된 유엔군사령부와 북한군 간 직통전화는 정상 가동된 것으로 알려졌다.
판문점 남측 유엔사 일직 장교 사무실과 북측 판문각에 각각 설치된 이 전화기를 통해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는 북한군과 매일 2차례씩 통신 점검 등의 통화를 하고 있다.
북한은 2013년 정전협정 무효화를 선언하며 이 직통전화를 일방적으로 차단했지만 2018년 7월 남북 및 북·미 간 긴장 완화 분위기 속에 복원한 바 있다.